국민들이 자기재산과 소득을 빼앗겼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크게 세가지로 볼 수 있다. 도둑, 다음으로 세금 그리고 물가상승이다. 도둑맞은 물건은 때로 되찾을 수도 있다. 세금은 국민의 의무일뿐더러 재산과 소득별로 차등을 두고 있다. 하지만 물가상승은 남녀노소는 물론 소득이나 재산규모에 관계없이 무차별적이다. ◆물가는 초등학생의 코묻은 돈이건 재벌회장의 돈이건 상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물가가 오르면 저소득자, 특히 월급쟁이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본다. 또 물가상승은 구조적으로 부자의 재산은 더욱 부풀려 주는 반면 서민의 재산증식은 한층 어렵게 해 빈익빈 부익부를 조장한다. ◆경제성장률이 아무리 높아도 물가가 크게 오른다면 거품에 지나지 않는다. 물가안정은 곧 국민의 재산과 소득을 지키고 사회계층간의 형평을 높이는 일이다. 선진국일수록 경제를 평가할 때 물가수준을 가장 중요한 척도로 삼는다. 그래서 1%의 물가오름세에도 정권이 흔들거린다. ◆이미 버스와 전기요금이 오른데 이어 어제부터 지하철과 철도요금이 인상되는 등 공공요금이 날개를 달고 있다. 우편요금과 의료수가, 마을버스요금도 인상을 기다리고 있다. 라면과 커피 등 생필품값도 들먹이고 있다. 그동안 불황탓에 어렵사리 안정세를 유지하던 물가가 오름세를 탈까 걱정이다. ◆정부와 한은이 물가억제의 책임을 누가 지느냐를 놓고 논쟁을 벌이고 있다. 국민입장에서는 공공요금 인상과 물자의 수급에 일차적 책임이 있는 정부나 돈가치의 안정을 지키는 한은이나 공동책임을 져야 한다고 본다. 국민 모두에게 가장 큰 도둑인 물가오름세를 잡는데 책임이 따로 있을 수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