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긴밀공조 과시 대북 압박/“식량난 구조적 문제” 미도 동의27일 상오(한국시간) 유엔본부에서 열린 김영삼 대통령과 빌 클린턴 미국대통령의 7번째 한미정상회담의 주의제는 역시 북한문제였다. 회담 형식 등이 실질적이었던 만큼 논의 내용도 가장 주요 현안인 북한문제에 집중됐다.
두 정상은 북한 정세에 대한 평가는 물론 대처 방향에서도 별 다른 차이점이 없음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김정일의 주석직 승계 여부가 정세 판단의 초점이며 식량지원 문제는 두 나라가 긴밀히 협조해야 할 사안이라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두 정상은 또 4자회담이 빨리 열릴 수 있도록 북한측의 적극적인 호응을 촉구하기로 합의했다.
이같은 두 정상의 의견 조율은 4자회담 예비회담을 위해 오는 30일 뉴욕에서 열릴 남북한 및 미국간 차관보급 준고위급 회담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4자회담을 지렛대 삼아 한미 사이에서 교묘한 줄다리기를 해 온 북한에는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클린턴 대통령은 『북한에 한미간을 이간시킬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시켜야 한다』고 못을 박았다. 미국을 통한 간접 압박방식으로 우리의 양보를 얻어내려 한 북한의 대응이 주목된다.
특히 김대통령이 『북한 식량 문제는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라고 말했고 클린턴 대통령도 이에 동의한 것은 유의할 대목이다.
김대통령이 『북한의 식량난을 덜기 위해서는 장기적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은 단기처방인 대량 원조로 국제사회의 분위기를 몰고가려는 미국에 「제동」의 의미가 담긴 메시지가 된다.
유엔본부의 한미정상회담은 성사 과정이나 내용으로 볼 때 한미 관계의 특수성을 다시 한번 부각시켜준 회담이라고 할수 있다. 미국이 유엔과 같은 다자 외교무대에서 단독 정상회담을 열지 않는 관행을 깨면서 유일하게 한국과의 회담에 합의한 것 자체가 한반도 상황에 대한 각별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 우리정부 관계자의 설명이다.<뉴욕=손태규 기자>뉴욕=손태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