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물을 내보이는 것 같아 뭣하긴 하지만 솔직히 민주화한 세상에서도 신문이 다루기 힘든 「성역」은 여전히 있다.그 첫번째는 아마도 종교일 것이다. 사이비종교의 실태나 종단비리 따위를 건드렸다가는 거의 「순교자」같은 각오로 달려드는 신도나 추종자들을 감당키 어렵다. 이익집단끼리의 다툼도 비슷하다. 명분과 논리로 포장돼 있으나 사실상 「밥그릇」과 연결돼 있어 어느 쪽에서도 촌보의 이해를 구하기 힘들다. 최근에도 단순의약품의 약국외 판매문제를 「용기」있게 다룬 기자가 연일 집단항의로 곤욕을 치렀다.
「학교촌지」 또한 다른 이유로 다루기 어려운 문제다. 평소 기막힌 실태를 귀따갑게 듣고 있으나 정작 취재를 할라치면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슬그머니 숨어버린다. 자칫 아이에게 불이익이 갈까 두려운 때문이다.
이런 판에 당사자가 「자술」한 「촌지 명세서」가 발견됐다. 「성역」이 스스로 열린 셈이다. 그러나 일선교육계의 반응은 실망스러웠다. 요컨대 『일부 극소수 일로 전체 교직자의 사기를 꺾지 말라』는 것이다.
물론 대도시지역에 집중된 것이긴 하나 그렇다고 「일부 극소수」라는 표현은 온당치 않다. 학부모들에게는 남자들의 군대얘기만큼이나 일반화한 화제가 학교촌지라는 것을 정말 모르는 것일까. 짐짓 충격어린 표정으로 결의대회를 여느니 전면감사를 하느니 법석을 떠는 교육당국의 모습은 코미디다.
아마 어느 나라에도 없을 이 창피한 관행의 해결책이 뭔지는 누구나 안다. 교사들이 학부모들에게 일체의 촌지거부를 공개선언하고 만약 줄 경우 아이에게 오히려 불이익을 주겠다고 「경고」하면 될 일이다. 그것만이 학부모들을 막연한 불안감에서 해방시키고 숱한 「진짜 선생님」들을 억울한 주위시선에서 구해내는 길이다.
이 칼럼을 쓰면서도 은근히 사진과 이름이 켕기니 나도 어쩔 수 없는 학부형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