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1,000만 주민들의 휴식공간인 청계산 자락 20여만평이 훼손될 위기에 놓였다는 보도가 나간뒤 본사와 환경단체에는 시행주체인 서울시를 비난하는 시민들의 항의가 빗발쳤다.『부족한 위락공간을 확충하겠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자연훼손은 최소화해야 한다』는 다소 「점잖은」 지적도 있었지만 『절대자연보전지역에 무리하게 공사를 강행하려는 것은 지자체의 만용이자 자연과 주민을 철저히 무시한 행위』라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청계산은 어떤 목적으로도 손을 대서는 안된다는 간절한 바람을 담고 있었다.
서울시 외에도 2002년 월드컵유치를 빌미로 자연녹지에 호텔 등 위락단지를 건설하려는 수원시 등 각 지자체 및 기업체에 곱지 않은 눈길이 쏠리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제대로 수용하지 않거나 개발에 앞서 보전을 우선 고려하라는 학계의 「충고」를 저버리고 「삽질」에 열을 올리는 지자체의 근시안적 태도를 그냥 보아넘길 수 없다는 시민들의 의사표시가 아닐 수 없다.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진 대부도 메추리섬을 깔아뭉개고 원유 중간저장기지를 건설하려는 한 재벌의 몰염치나, 학계의 거듭된 오염경고를 무시한채 계속되고 있는 시화호의 썩은 물 방류행위 등도 이같은 시민들의 감시대상에서 예외일 수가 없다. 안산YWCA 등 시민·사회단체 등이 「서해안갯벌 살리기운동」에 나선 것도 수세기에 걸쳐 이뤄진 귀중한 생태계를 한순간에 파괴할 수 없다는 인식에서 우러나온 것이다.
『「세수확장」 「주민편의」 등을 내걸고 「민자유치」로 「포장」돼 경쟁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자연파괴의 결과는 누가 책임지겠습니까』 무분별한 개발행위에 침묵하는 정부를 향해 던지는 환경운동연합 관계자의 항의에는 분노가 느껴진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