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은 국어사전의 정의대로 「전에 없던 것을 새로 생각해 내거나 만들어 냄」이 아니라 「좀더 아름답게, 좀더 편리하게」이다.산업재산권은 특허, 실용신안, 의장, 상표로 분류되는데 좀더 아름답게 하면 의장을, 좀더 편리하게 하면 특허나 실용신안을 등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이래 가장 많이 팔리고, 가장 많은 돈을 번 발명품도 생활주변의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탄생했다. 100만달러짜리 발명으로 불리우는 종이컵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발명한 사람은 1907년 미국 하버드대 1년생이던 휴그무어. 한살 위인 형 로렌스 루엘렌은 생수 자동판매기를 발명,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다. 그러나 유리컵을 사용하다보니 하루에도 수없이 깨져 자판기의 인기는 날이 갈수록 하락했다.
『그렇다면 깨지지 않는 종이컵을 만들면 되잖아』 생각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다. 종이는 물에 젖기 때문이다. 그러나 물에 젖지 않는 기름먹인 종이를 찾아내는데 성공하자 모든 일은 일사천리로 해결됐다. 특허도 받았다. 그 무렵 W.T.그레이엄이라는 자본가가 20만달러를 투자하겠다며 종이컵회사 설립을 제안했고 휴그무어는 흔쾌히 받아들였다. 대학을 그만두고 사업에 뛰어든 휴그무어에게는 행운도 뒤따랐다. 민간연구소에 근무하는 사무엘 크럼빈 박사가 「인간을 바이러스에서 구하는 길은 오직 1회용 컵을 사용하는 것 뿐」이라고 강조해 종이컵에 대한 엄청난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휴그무어의 종이컵은 광고를 하지 않고도 날개 돋힌듯 팔려 당시 연간 100만달러의 매상을 거뜬히 올렸다. 물건의 재료만을 바꿔 좀더 편리하게 함으로써 특허와 돈과 명예를 동시에 거머쥔 것이다.
요즘도 이러한 사례는 수 없이 많다. 식당에서 나무 이쑤시개를 사용할 수 없게되자 물에 녹는 식물성 이쑤시개를 만들어 특허를 출원하고 서둘러 생산하는 아이디어맨이 자그마치 20여명에 이르고 있을 정도이다.<한국발명진흥회 회원사업부>한국발명진흥회>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