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표측 “경선후 후유증 정비하려면 시간 필요”/타대선주자 “조기가시화 의도”“밀실결정” 반발7월초 전당대회 개최여부를 놓고 신한국당내 의견이 분분하다. 당내 실무진에서 전당대회 일자를 7월초로 잡았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이회창 대표를 제외한 다른 대선주자들은 『밀실에서 결정할 수 없다』고 반발하고 있다. 특히 7월초 전당대회는 후보 조기가시화를 의미하고 있어 다른 대선주자들은 그 배경에 이대표측의 「작전」이 개입된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고있다.
상황이 다소 미묘해지자, 박관용 사무총장은 17일 『전당대회 일정이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 경선준비팀은 대략 7월10일 전후를 「D―데이」로 잡고있다는 사실을 굳이 부인하지 않는다. 청와대도 정확히 날짜는 못박기는 곤란하나 7월초 전당대회가 적정하다는 분위기다.
물론 이대표측은 7월초 전당대회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고흥길 대표특보는 『지난 대선때 여당 전당대회가 5월에 열렸지만 경선의 후유증이 상당하지 않았느냐』고 반문했다. 고특보는 『그때는 후보가 두 명뿐이었지만, 지금은 여러명이어서 경선후 당내 결속을 다지고 조직정비를 하는데 적지않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만약 경선의 후유증을 달래느라 두어달을 보내면, 여당후보는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불과 3, 4개월의 시간밖에 갖지못한다는게 이대표측의 주장이다. 한마디로 7월초도 늦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정치적 고려에 의해 7월초 전당대회를 추인하는 인상이다. 사실 청와대는 한보정국, 김현철 정국의 혼란상에서 벗어나아야한다는 절박한 처지이다.
그러나 이홍구 박찬종 이수성 고문 등 영입파주자나 김덕룡 이한동 고문 등은 일단 탐탁지않은 반응들이다. 특히 경선관리위가 출범하기도 전에 전당대회 일정이 정해진다는 것은 논란의 소지가 있다는게 이대표를 제외한 다른 주자들의 견해다. 일부 주자진영에서는 『의견수렴절차도 없이 전당대회 일자를 흘리는 당직자가 누구냐』며 반발하고있다.
실제 7월초 전당대회를 추진하기에는 현실적인 애로점도 적지않다. 우선 청문회를 마친후 5월6일 경선관리위를 출범시키면, 후속 일정인 당헌당규개정에 20일, 지구당 개편대회 2주일, 당헌당규 개정을 위한 전국위원회 개최와 준비 1주일 등이 필요하다. 이어 경선 선거운동 기간을 한달정도 잡으면, 전당대회 이전의 준비절차에 모두 70일 이상이 소요된다. 만약 정치인 수사나 김현철씨 수사가 의외의 결과를 내놓거나 질척거리면, 7월말 전당대회도 어려워지는 상황이 올 수 있는 것이다.<이영성 기자>이영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