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 뛰며 대안 찾자” 굽힘없는 질주대선경주에 임하는 신한국당 민주계의 현주소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민주계의 양대축인 최형우 고문과 김덕룡 의원은 굽힘없이 대권을 향해 뛰고 있다. 그렇지만 민주계 내부에서조차 회의론이 거세다. 민주계 무망론은 지난해 가을부터 민주계 안팎에서 거론돼오다 한보사태에 이르러 불가론으로 기울어졌다.
그럼에도 최고문과 김의원은 각자 뛰고 있다. 후보단일화 작업과 병행한 「자전거 타기」다. 어차피 멈추면 쓰러진다.
민주계가 경선을 포기하고 본선 당선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밀어야 한다는 내부논의가 갈수록 힘을 얻고있지만 개의치 않고 있다. 설사 포기할 때 하더라도 갈 때까지 간다는 생각이다.
민주계의 「선택」이 여권의 향후 대권구도를 결정할 키 포인트가 된다는 점을 의심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당내 최대세력인 민주계의 도움없이 누구도 대선후보자리를 차지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문제는 최고문과 김의원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다. 최고문과 김의원의 경선포기를 주장하는 민주계 의원들은 『이대로 가다간 민주계는 물론 당 자체가 깨진다』고 걱정한다. 이들은 『민주계는 역사적 책무를 다한 것으로 만족해야 한다. 기득권에 연연하면 정치적으로 더 어려워 진다는 것이 과거의 교훈이다. 지금은 정권재창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민주계는 투자가치가 가장 높은 대상을 찾는 투자자의 입장으로 돌아서야 한다. 그것이 민주계의 살길이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나오는 것이 최형우 대표론, 김덕룡 킹메이커론이다.
이들은 이한동 고문이 유력한 대표후보로 거론되는 분위기에 대단한 불만을 토로한다. 민주계 주자를 주저앉히기 위해선 민주계에 역할을 부여해야 하고, 그중 첫번째는 대선후보포기를 전제로 최고문이 대표를 맡아 공정한 경선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민주계가 자숙해야 할 판에 무슨 대표 운운이냐』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선 『경선에 나서지 않는 것보다 더 큰 자숙이 어디 있느냐』고 반박한다. 그럼에도 양 진영은 경선포기 입장을 쉽게 밝힐 것 같지 않다.
뭉치기 위해서라도 지금은 따로 가야하고, 제3의 대안을 찾기 위해서라도 지금은 스스로를 내세워야 할 때이기 때문이다.<홍희곤 기자>홍희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