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도 연말로 늦춰질듯우리 경제가 「시계제로」상태에 빠졌다. 실업자가 한달만에 7만여명이 늘면서 대량실업을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 제조업 평균가동률 등 각종 경기 지표들이 줄줄이 빨간불을 켜고 있다. 반년뒤의 경기상황을 예고하는 선행지수는 횡보를 거듭, 경기회복시기를 가늠하기가 어렵다. 통계청은 28일 노동법 개정에 따른 파업의 영향으로 「1월중 산업활동동향」이 악화했을뿐 경기가 급격히 나빠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지금의 침체가 「복원력」 상실에 따른 것이며 이대로 가다간 장기불황에 빠져들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급증하는 실업
경기가 나빠지면 실업이 느는 것은 당연하다. 문제는 최근 실업률이 너무 빨리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또 실업률통계가 8∼9개월전의 경기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최소한 올상반기까지 계속 증가할 것이라는 점이다. 지난해 11월 한달동안 4만7,000명의 실업자가 발생했고, 12월 3만6,000명에 이어 1월에는 전달의 배인 7만2,000명이 늘었다. 1월 현재 실업자가 55만1,000명. 이런 추세라면 1∼2개월내에 60만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우리나라의 가구당 취업자수는 95년 현재 1.47명이다. 가장 혼자 생계를 꾸려가고 있는 셈으로, 실업의 여파가 그 만큼 크다는 얘기다.
통계청은 1월중 실업자가 급증한 것은 지난해 40대의 명예퇴직 등으로 여성들이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에 나섰고, 경기침체로 기업들이 신규채용을 줄이면서 고졸실업자(대졸예정자 포함)가 증가한게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여성의 경제활동인구는 작년 1월보다 44만명이 늘었고 실업자는 6만명이 증가했다.
올해 대통령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실업문제는 경제정책을 좌지우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운영의 핵이 될 전망이다.
◆파업여파
노동법개정에 따른 파업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를 더욱 얼어붙게 만들었다. 1월중 파업에 따른 생산차질액은 2조66억원에 달했다. 이중 자동차의 생산차질액은 1조8,000억원으로 89.7%를 차지했다. 1월중 산업생산증가율이 5.9%였으나 자동차부문의 파업만 없었다면 10.4%로 올라갈 수 있다는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제조업 평균가동률도 77.0%로, 경기저점인 93년1월(76.5%)이후 최저치였으나 파업이 없었다면 80%로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12년만에 최저수준(1.4%)으로 떨어진 도소매판매증가율이 의미하듯 소비위축도 심각하다. 자동차생산이 줄어들면서 소비가 줄어든 것이 3.6%포인트에 달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불확실한 경제회복시기
향후 6∼7개월후의 경기상황을 예고해주는 경기선행지수가 158∼159에서 오락가락함에 따라 경기저점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다. 민간연구소 관계자는 『경기선행지수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야만 향후 경기회복을 예상할 수 있다』며 『경기가 저점에 도달하는 시기는 하반기이후로 지연되고 따라서 경기회복시기도 점차 연말로 미뤄질 것 같다』고 우려했다.<정희경 기자>정희경>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