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예상밖으로 안정세를 보여 시름이 많은 국민들에게 한가닥 위안을 안겨주고 있다. 상반기중 3.8%나 오르는 바람에 연간 억제목표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여겨져 왔는데 하반기 들어 농산물 작황호조에다가 중앙과 지방자치단체들간의 실효성있는 공조체제 작동과 정부의 집요하고도 강력한 안정의지에 힘입어 0.7% 상승으로 막을 수 있었다.경상수지 적자가 갈수록 부풀어 23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등 경제상황이 전반적으로 나빠지고 있는 가운데 물가만이라도 4.5%의 목표선 이내에서 억제할 수 있었던 것은 다행스럽고도 의미 있는 일이다. 93년의 5.8%에서 시작해서 94년 5.6%, 95년 4.7%, 올해 4.5%로 문민정부들어 4년 내리 물가상승률이 낮아지면서 안정추세를 보여 온 것은 어떤 어려운 조건하에서도 물가만은 선진국형 안정기조로 정착시켜 나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올해 물가는 부문별로 농축수산물이 1.8%, 공산품이 2.4%로 현저한 안정세를 보인데 반해 공공요금이 8.5%, 개인서비스요금이 6.2%나 오른 것이 특색이다. 특히 석유류가격이 무려 22.8%나 오른 점과 상반기중 3.8% 오른 물가가 하반기중 0.7%로 억제될 수 있었다는 점은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다. 이것은 정부가 하기에 따라 물가는 얼마든지 안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물가는 추세와 함께 수준이 중요하다. 아무리 숫자가 낮아져도 물가안정이 피부에 와닿지 않는 것은 물가수준 자체가 워낙 높기 때문이다. 지수의 안정을 넘어 수준을 파괴하는 쪽으로 물가정책이 한 차원 높아져야 한다. 지금 같은 세계 제1의 고물가 체제로는 경제를 회복시키려는 어떤 노력도 물거품이 될 수 밖에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