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 있는 한의학 유학생들 사이에 최근 이색모임 하나가 결성됐다. 고시준비위원회. 국내 한의사 면허시험의 응시자격을 얻기 위한 일종의 교섭단체다. 지난달 베이징(북경) 중의대 재학생들이 첫 모임을 가진후 지금은 지방에도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현재 중국에 유학중인 한국인은 모두 8,500여명. 지난 8월 일본(6,500명)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들중 어학연수, 석박사 과정을 제외한 3,300명이 일반대 과정인데 무려 그 절반 가량인 1,600명이 한의학 전공자로 되어 있다. 92년 수교이후 한해 평균 400여명. 올 한해만도 320명이 한의학을 공부한다고 그 곳으로 떠났다.
그러나 어느새 첫 졸업생 180명이 내년 귀국을 서두르고 있지만 국내에선 면허시험에 응시할 수 없게 돼 있어 이런 모임까지 만들게 됐다는 것이다. 우리의 규정(의료법 제5조)은 「한방의학 전공대학을 졸업. 한의학사 자격이 있거나, 정부가 인정하는 외국의 대학을 졸업하고 한의사 면허를 받은자」에게만 국내 면허시험 응시자격을 주게 되어 있다. 중국의 중의대는 우리보다 1년 짧은 5년인데다 이수과목도 다르며 더구나 중국은 한의사에 대한 국가 인정시험제가 없는 등 우리의 한의대와는 사뭇 다르다.
준비위는 새해들어 「총력전」으로 응시자격 「쟁취」에 나설 것이라 밝히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들 유학생들이 유학을 떠날 때부터 이런 의료법상의 제약을 알고 있으면서도 「어떻게 되지 않겠느냐」면서 떠난 데 있다. 심지어 수교붐에 편승한 브로커들로부터 「곧 정치적 타결로 문제가 해소될 뿐더러 많은 젊은이들을 그대로 둘 리가 있느냐」는 사탕발림도 한몫했다는 것이다. 이들의 이 수법은 지금도 여전해 많은 고교졸업생들이 동요하고 있다는 교사들의 걱정섞인 설명이다.
사실을 자세히 알려 이해시키고 무모한 유학을 자제시키려 해도 막무가내로 떠난다는 것이다. 이제 그 수가 2,000여명에 이른다니 공연한 골칫거리를 더 하나 만든 셈이다. 모두가 자기 돈으로 유학가는데 누가 뭐랄 수 있느냐는 식이다. 주변의 이런 방관이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들어 가고 있는지 모른다.<논설위원실에서>논설위원실에서>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