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대한민국민단이 26일 창단 50주년을 맞았다. 재일민단은 이날 대규모 기념축제를 갖고 참정권 획득을 통해 일본사회에서의 공생 공영을 꾀하고 「원 코리아운동」을 통해 통일에 대비하는 제2의 도약을 다짐했다. 조총련과 이념대립을 하고 반일만을 외치던 때를 떠올리면 격세지감을 갖게 한다.46년 10월 재일한국인 민주세력의 집합체로 출발한 재일민단의 50년은 바로 한의 세월이었다. 일본사회의 인종차별, 본국정부의 냉대는 역사의 희생자인 재일한국인들을 무겁게 짓눌렀다. 특히 조국분단을 상징하듯 조총련과의 이념대결은 이들을 한동안 방황하게 만들기도 했다.
이들의 인고의 삶도 2·3·4세들이 성장함에 따라 달라지고 있다. 이들은 「재일」을 반일의 차원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역시 영원히 살아야 할 땅이라는 것이 그들의 결론이다. 재일대한민국거류민단이 94년 이름에서 「거류」를 뺀 것도 바로 이 때문이었다.
이러한 의식변화는 냉전종식과 함께 조총련과의 관계에서도 변화를 가져왔다. 대결보다는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다. 참정권 획득문제에선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옛날같은 적대감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변화를 예고하는 것으로 주목할 만하다.
재일한국인사회의 이러한 흐름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바로 생존의 몸부림이기도 하다. 이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으려면 정부와 국민의 이해 및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일본이 영원한 보금자리라면 이들의 지위가 더욱 향상되도록 지원하는 것이 정부의 올바른 정책이라고 할 것이다.
국민들도 이들의 일본 귀화를 민족반역자처럼 보던 시대는 지났다. 이들이 처한 상황을 냉정하게 판단, 이들의 노력에 격려 및 지원을 아껴서는 안된다. 귀화해 「빠찡꼬」나 「불고기장사」로 대표되는 삶의 굴레를 떨치고 일본사회에서 굳건한 지위를 차지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바람직한 일이다.
재일한국인은 91년 69만3천명을 피크로 계속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 재일한국인중 1세는 7%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2세 이후의 세대인데다 매년 1만명 정도가 일본에 귀화하고 있다. 동포끼리의 결혼은 15%고 나머지는 일본인과 결혼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
재일한국인사회는 21세기를 앞두고 전환점을 맞고 있다. 통일시대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현재의 변화를 얼마만큼 긍정적으로 이끄느냐에 달려 있다. 이것은 재일민단을 중심으로 한 재일한국인사회 스스로의 노력과 정부의 지원 및 국민들의 이해가 삼위일체 됐을 때 가능한 일이라고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