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초제에 강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미국산 콩과 옥수수 및 이를 원료로 사용한 제품이 인체에 해롭다고 미국 소비자 단체들이 불매운동을 하고 나섰다. 이 운동은 유전자(DNA)조작 농산물이 본격적으로 식탁에 오르는 시대가 됐음을 알림과 함께 「DNA식품」을 맹신하지 말라는 경고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인류의 미래는 유전공학에 달렸다고 한다.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세포융합 조직배양 미생물 이용 등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의한 품종개량은 식량 및 에너지부족 환경문제 해결에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나라마다 이의 연구 개발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선구자는 미국과 캐나다이다. 94년 첫 유전자 조작 농작물로 장기보존이 가능한 토마토가 선보인 후 호박 면화 대두 등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지금도 캐나다 2천9백건, 미국 1천8백건을 비롯, 일본 프랑스 벨기에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천건의 유전자 조작 작물이 야외에서 시험 재배되고 있다.
이처럼 연구폭이 넓어짐에 따라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자연질서를 뒤흔든」 유전자 조작 농작물이 인체와 자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제대로 점검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도 모르게 유전공학의 실험재료가 되고 있다」는 유전공학자 존 페이건의 말은 귀담아 들을 만하다.
인간의 유전자연구는 생명의 존엄성을 훼손한다는 윤리적인 면 때문에 어느정도 질서가 잡혀 있다. 95년 스페인에서 열린 국제의원연맹(IPU)이 생명윤리선언을 한데 이어 유네스코도 이를 준비하고 있다. 이에 비해 농작물에 대한 연구는 아무런 제한이 없고 그 제품이 속속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정체가 확실치 않은」 농작물이 이처럼 식탁을 넘보고 있는데도 우리의 이에 대한 연구나 대비책은 걸음마 단계다. 기초연구마저 부실하고 국민들의 인식도 낮다. 21세기 초엔 유전자 조작 농작물의 세계시장 규모가 4조원에 이른다는 점에서도 모두 이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해야 한다.
무엇보다 연구와 대비책이 조화를 이루는 정책이 필요하다. 식품으로서의 안전성 확보와 환경에 대한 영향평가를 철저히 해야 한다. 유전자 조작농작물엔 표시를 하고 관계정보는 그때그때 공개해 국민들의 이해를 돕고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시켜야 한다.
이러한 대비책도 연구개발의 뒷받침이 없으면 실효를 거둘 수 없다. 앞으로 DNA식품이 우리식탁을 점령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를 게을리 할 수 없다. 정부는 물론 국민들도 스스로의 삶을 지키고 풍요롭게 한다는 차원에서도 연구 개발을 적극지원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