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기세·부정여론에 “운신한계”/“정치적 상처 최소화 길 선택” 관측전날 부산강연을 마치고 23일 새벽 상경한 신한국당 이명박 의원은 하루종일 종적이 묘연했다. 이의원의 측근들도 빗발치는 그의 소재문의에 대해 『우리도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 그래서 이의원이 여권의 요로를 찾아다니며 「구명」을 호소하고 있거나, 모처에 칩거하며 향후거취를 심사숙고중일 것이라는 추측이 나돌았다.
그만큼 이의원이 처한 상황은 심각하다. 신한국당은 이제 그에 대한 「보호」를 포기한 상태다. 뿐만아니라 이의원의 말만 믿고 『김유찬씨를 빼돌린 것은 국민회의』라며 그를 변호하다가 「망신」을 당한 당지도부는 강한 불쾌감을 숨기지않고 있다. 당내에서 이의원에 대한 탈당권유나 출당검토설이 제기되는 것은 이때문이다.
물론 검찰의 수사진행 분위기에 비추어 이의원이 이대로 법망을 빠져나갈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렇다면 그는 의원직상실과 사법처리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의원이 그나마 정치적 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금주중 검찰의 소환조사전에 「자기희생적」결단을 내리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현재로선 이의원이 어떤 타개책을 구상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당일각에는 당국의 「선처」를 겨냥한 자진탈당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스스로 당의 부담을 줄여주는 대신 수사강도 완화 등의 반대급부를 여권에 요구하는 「정치적 흥정」을 시도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와함께 보다 강력한 처방으로 아예 의원직사퇴를 선언, 검찰수사를 사실상 원인무효화함으로써 사법처리를 면하는 방법을 선택할지 모른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의원이 이들 방안중 어떤 쪽을 선택한다해도 실효성은 미지수로 볼 수 있다. 그에 대한 여론이 부정적인데다 검찰의 운신폭도 그리 넓지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번 기회에 여당의 부정선거를 철저히 규명하겠다는 야권의 강도높은 기세도 그의 선택폭을 좁히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유성식 기자>유성식>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