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편가르기 고착 “불안한 평화”/분리운동 방지 서방 노력·경제 재건이 관건보스니아 총선은 종족간 화합이 아니라 불신과 적대감을 재확인했다.
18일 당선자를 확정한 3인 대통령선거 개표 결과는 당초 예상했던 대로 회교계·세르비아계·크로아티아계가 각각 강경 민족주의를 표방한 내전주도 인물에 몰표를 던졌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서방에 의해 강요된 현상유지가 종족간 분리선을 따라 고착화했음을 드러내는 것으로 평화정착에 험로를 예고한다.
보스니아 평화정착은 그러나 이같은 「한지붕 세가족」의 불안한 동거를 인정한 바탕 위에서 시작할 수 밖에 없다. 3년반 동안 25만여명이 희생된 내전이 한차례 선거로 치유되기를 기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보스니아 미래의 최대 난제는 회교―크로아티아 연방과 세르비아계의 스르프스카 공화국의 통합성을 유지하는 것. 회교―크로아티아 연방내 크로아티아계의 분리운동 차단도 이에 못지않은 어려운 과제다.
데이턴 협정은 보스니아의 통합성을 유지하도록 못박고 있다. 그러나 선거에서 세르비아계는 세르비아공으로, 크로아티아계는 크로아티아공으로의 통합을 주장한 후보를 전폭 지지한 데서 보듯 이 문제는 폭발성을 내포하고 있다.
최고 정책결정기관인 3인 대통령 회의의 법적 무기력과 언제든 비토가 가능한 의사결정 과정도 세 종족의 화학적 통합을 위해서는 개선이 불가피하다.
내전중 65%가 파괴된 산업시설 재건은 최우선 과제. 경제발전과 이에 따른 종족간 교류야 말로 항구적 평화정착의 촉매로 평가된다. 세계은행은 앞으로 3∼4년의 복구비용으로 51억달러가 필요하다고 발표했지만 재원조달 수단은 막막하다. 보스니아 정부는 국제사회가 올해 지원하기로 약속한 19억달러중 지금까지 10%만 이행됐다고 말한다. 내전중 고향을 등진 난민 100여만명의 재산권 회복요구도 끊임없는 불화요인으로 남을 전망이다.
보스니아의 미래는 무엇보다 서방의 의지에 달렸다.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는 올해 12월20일로 마감되는 평화이행군(IFOR)의 임무를 교대할 IFOR―2를 파견한다는 방침이지만 병력과 주둔기간은 아직 미정이다. 최소한 종족간 화해의 기운이 싹틀 때까지 분리운동과 충돌을 막겠다는 서방의 결단이 없다면 보스니아는 다시 내전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배연해 기자>배연해>
◎회교계 이제트베고비치 수석대통령 확정
【사라예보 로이터 AFP=연합】 14일 실시된 보스니아 대선에서 회교계 후보 알리야 이제트베고비치 현 보스니아대통령이 수석 대통령에 선출됐으며 의회선거에서도 이제트베고비치가 이끄는 회교계 민주행동당(SDA)이 최대의석을 확보했다고 유럽안보협력기구(OSCE)가 18일 발표했다.
보스니아 선거를 감독하는 OSCE는 최종 개표결과 이제트베고비치가 최다득표인 72만9,034표를 얻어 회교계 대통령겸 수석대통령으로 당선됐으며 69만373표를 얻은 세르비아민주당(SDS)의 몸칠로 크라이스니크 후보가 세르비아계 대통령으로, 34만2,007표를 얻은 크로아티아민주동맹(HDZ)의 크레시미르 주박 후보가 크로아티아계 대통령으로 확정됐다고 밝혔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