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상속세」「의원재산」등 쟁점 구렁이담넘기식(언론학자가본한국일보)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상속세」「의원재산」등 쟁점 구렁이담넘기식(언론학자가본한국일보)

입력
1996.08.05 00:00
0 0

◎언론의 정치권에 대한 감시기능 강화해야미국 신문의 역사를 보면 정당신문시대에서 대중신문시대를 거쳐 뉴저널리즘시대를 맞이하면서 현대신문의 기틀이 잡히게 된다. 영국이나 유럽대륙의 신문역사도 이와 유사하다. 물론 그 이후에도 여러 신문사조들이 있어 왔지만 그 중에서도 뉴저널리즘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조셉 퓰리처가 존경받고 있는 것도 뉴저널리즘을 실천한 위대한 언론인이기 때문이다.

뉴저널리즘의 요체는 서민대중들을 독자로 끌어 들이기 위해 정당이나 정부의 부정부패와 산업자본의 기업독점을 서민들의 편에서 공격하고 서민들을 위한 사회복지진흥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데에 있다.

정당신문시대에 있어서 신문은 정치엘리트들을 대변하여 정치적 논쟁에 휘말렸었다. 대중신문시대에 있어서는 신문대금을 1부에 1센트로 내려 서민계층이 신문을 접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대중신문 다음의 뉴저널리즘은 대중신문에 혼을 불어넣어 신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뉴저널리즘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 사설란을 신문의 중심으로 생각하고 서민들의 편에서 논조를 전개했다. 예를 들면 사설을 통해 반독점과 노동운동을 격려하고 소득세와 상속세 시행에 앞장섰다는 것이다. 두번째는 어느정도 센세이셔널리즘이 가미되긴 했지만 심층보도를 통해 철저한 뉴스보도를 했다. 예를 들면 기자가 범인이나 미친 사람을 가장하여 감옥이나 수용소에 들어가 취재보도하기도 한 것이다. 그외에도 독자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기발한 부대사업을 실시했다는 점이나 자가선전이나 경품권 등의 기발한 보급정책을 실시한 것을 그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신문보급경쟁으로 빚어진 살인사건이 최근 발생했다. 뉴저널리즘의 입장에서 그 원인을 찾아보면 독자들에게 이익이 돌아가는 정당한 경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어쨌든 새삼스럽게 이 시점에서 뉴저널리즘을 다시 거론하는 것은 그 특징들, 특히 첫번째 두번째 것이 지금의 우리나라 신문들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일보 8월2일자 1면에 「상속재산 10억까지 비과세」라는 기사가 실렸다. 「배우자 단독 상속땐 32억 공제」라는 부제도 달려 있었다.

또한 「중산층 감세―고액재산가 증세」라는 제목으로 10면에 해설기사를 싣고 있다. 10억원대를 상속할 수 있는 사람들이 과연 상속세를 감세받을 수 있는 중산층인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과연 그런 사람들이 우리 사회에 얼마나 될까. 겨우 집장만하고 월급받아 다달이 살아가는 사람들이나 그보다 못한 사람들이 이 기사를 보면 어떻게 생각할까.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막고 부의 불균형을 치유하는 제도적 장치가 상속세라고 할 수 있다. 지역별로 계층별로 점점 부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는 지금의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상속세를 적극적으로 찬성하고 시행하게 했던 뉴저널리즘 시대의 신문정신이 요구되는 것이 아닐까.

뉴저널리즘시대의 철저한 사건보도 정신도 무척 아쉽게 느껴진다. 심각한 정치사회 문제에 있어 독자들에게 구렁이 담 넘어 가는 듯한 「면피용 보도」나 하는 경우를 우리는 흔히 본다.

지난 총선에서 부정선거조사와 선거비용실사문제가 그 예이다. 한참 그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하고 검찰에서 본격적인 수사를 벌인다는 기사가 난무하더니 어느 틈엔가 슬그머니 사라지고 말았다. 언론들이 그 수사결과에 대해 정치권의 논리에 따라 침묵했기 때문이다. 파고들어 파헤쳐야 할 것은 파헤쳐야 하는 것이 직필정론을 외치는 신문의 사명이지 않을까.

7월28일 일요일자에 의원재산 등록내역이 상세히 실렸고 29일자 6면에 그 뒷이야기가 「일부의원 투기의혹 시선에 곤혹」이라는 제목으로 실렸다. 마치 투기가 없었는데 괜히 일부 의원들이 의혹을 받고 있다는 어투이다. 물론 의혹을 받고 있는 의원들이 투기를 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의혹을 받고 있는 이상에는 철저한 조사가 뒤따라야 하고 국민들앞에 그 조사결과가 밝혀져야 한다. 언론은 철저한 조사를 촉구해야 하고 조사가 미진할 때는 철저한 탐사보도를 해야할 것이다.

우리나라 정치가 국민들의 불신을 받고 있는 데는 언론의 책임이 크다. 언론이 정치권에 대한 감시기능을 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파헤쳐진 바른 목소리가 한국일보의 신문지면에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장익진 부산대 교수·미 플로리다주립대 신문학박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