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문기자 40년은 신문으로 나날을 달력처럼 헤아리고 신문으로 나날을 일기처럼 기록하며 흘러왔다. 역사곁에서 역사를 지켜온 긴 불침번의 세월이었다. 신문사에서 밤을 꼬박 새우고 난 새벽처럼 지금 나의 눈은 충혈되어 있다.우리 역사에 현대사 40년만큼 진폭이 큰 시대도 드물다. 경제개발의 역사였고 민주화의 역사였다. 그 역사를 따라 언론사의 진폭이 이만큼 컸던 때도 없다. 나는 이런 시기에 시대의 증인이 된 행운아다. 신문기자를 해볼만한 격변기에 신문기자를 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천직일 수 있었다.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 우리나라 신문은 구한말과 일제 치하에서의 50년이 전사였다면 광복을 중간점으로 하여 그때부터 휴전직후까지의 10년이 정돈기였고 나머지 40년이 후사가 된다. 한국의 현대 언론사는 곧 이 40년의 역사다. 나는 이 기간동안 줄곧 신문의 역사속에 있었다.
내가 신문사에 입사하던 때의 신문과 오늘의 신문을 비교해보면 40년의 엄청난 시차를 실감할 수 있다. 하루 4면이던 지면이 40면을 넘게 되고 발행부수가 평균 10배도 훨씬 더 늘었다. 흑백신문이 컬러화하고 연판은 CTS로 바뀌었다.
이런 물량의 급성장과 제작방식의 혁명에도 불구하고 과연 오늘의 신문이 40년전의 신문보다 더 신문다운가를 생각하면 40년기자는 부끄럽다. 내가 그동안 신문의 발전에 기여한 것이 무엇이었던가 하는 자책이 앞선다.
기자들의 기자정신과 언론들의 언론정신이 과연 신문의 키가 자란만큼 자랐는가. 뜨거운 납덩이가 싸늘한 컴퓨터로 바뀌는 동안 신문의 열정 또한 식어버린 것은 아닌가. 이것을 증언하기 위해 나는 아직도 언론계에 남아 있는 것이라고 스스로 강변하고 싶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농경시대에서 산업시대로, 이제는 정보화 시대로 급속히 진전했다. 신문지면은 이런 급변을 뒤따르기 바빴지 앞서가지 못했다. 사회발전의 최후진에 신문이 있었다. 나는 만보의 신문기자였다.
배의 나침반은 격랑속에서 배가 아무리 요동해도 평형을 유지한다. 나침반이 기울면 지남할 수 없다. 역사가 아무리 동요하더라도 신문이 따라 물결쳐서는 안된다. 신문은 흔들리는 글씨로 역사를 바로 기록할 수 없고 흔들리는 지침으로 올바른 방향을 가리킬 수 없다. 격동의 역사를 헤쳐오며 과연 우리 언론이 흔들림이 없었던가.
역사를 바로 세우자고 한다. 언론의 정립없이 역사의 직립은 없다. 신문은 다시는 드러눕지 않을 역사를 꼿꼿한 붓대로 기록하지 않으면 안된다. 가성의 목소리로 역사를 오식해서는 안된다.
신문을 믿지 말라. 이것이 신문과 함께 평생을 살아오면서 득도한 나의 계명이다. 신문불신이 40년기자의 매니페스토인 것은 패러독스다.
단 한 줄도 오보가 없는 신문은 단 하루도 없다. 신문이 속보성과 전달 수단의 불완전성 때문에 완벽하게 정확하기가 어렵다고 해서 부정확할 권리는 없다. 언론자유가 수난당해 왔다고 해서 언론자유의 이름으로 다른 자유를 가해할 권리도 없다.
그러나 독자로서는 신문을 믿지 않고 무엇을 믿을 것인가. 신문에 불신감을 가진다면 대관절 무엇을 지표로 어지러운 사회정세의 변화에 대응할 것인가 하는 의문은 옳다. 어차피 신문을 다시 읽기 시작할 수밖에 없다.
신문이 신용을 회복하자면 양심의 표정이 시류에 따라 변용되지 말아야 하고, 정직이 가장 큰 정의여야 하고, 정확이 속보보다 더 가치있어야 하고, 대중의 악취미에 영합하지 말아야 하고, 개발연대의 사고방식이 도식으로 남아 있지 않아야 한다.
신문은 항상 새 물결이다. 신문 제작은 매일이 견습이다. 기자는 신문을 언제까지나 견습기자처럼 두려워해야 한다. 나는 지금도 견습기자다. 신문은 항상 젊다. 신문이 늙지 않는한 기자도 늙지 않는다.<본사 논설고문>본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