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들 이해쉽게 해설·배경 실어줬으면신문기사를 읽고 그 내용을 이해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신문지면이 섹션화하면서 섹션기사들이 전문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신문사도 저마다 전문기자를 두어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자들이 전문성을 갖게 되면 정확하고 깊이있는 기사를 쓸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되지만 한편으로는 기사가 어려워지는 단점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장점과 단점 사이에서 대다수의 독자에게 적절한 포인트는 어디에 있을까? 기자들이 지녀야 하는 전문성의 정도에 관한 학계의 논의와도 연결되는 질문이라고 볼 수 있다.
참으로 어려운 문제로서 시대적인 신문사조와도 연결되지 않나 생각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신문편집 경향으로 볼 때 정확하고 깊이있는 기사도 물론 돋보이지만 한편으로는 어려운 내용을 쉽게 풀어쓴 기사가 요즈음에는 절실히 요구된다.
독자들의 일반적인 학력평균이 고등학교 졸업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단편적인 스트레이트 기사보다는 해설기사나 기획기사에 눈이 자주 가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한국일보 25일자 1면톱은 「행정정보공개법안 확정」에 관한 기사였다. 확정된 총무처의 안에 대해 지난해부터 공개제외대상정보에 관하여 다른 부처에서 논란이 제기됐다는 내용이 기사중에 언급됐다.
논란의 이유로서 확정된 법안이 너무 「혁신적」이라는 것을 기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마 이 기사를 작성한 기자는 충분히 숙지하고 있는 내용이겠지만 독자들은 그 기사만 가지고는 논란의 의미를 알 수 없었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이기사가 1면 톱에 실릴 정도면 「행정정보공개법안 확정」의 의미는 대단하리라고 생각되지만 독자들에게 그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는 데는 인색한 기사였다.
같은 1면에 「내년 예산 72조원, 14%증가…SOC최우선」이라는 기사에서 SOC라는 영어약자를 그대로 제목으로 쓰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본문이나 관련기사에서 그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었다.
SOC라는 영어약자에 익숙한 독자들이 얼마나 될까? 「사회간접자본」이라는 국어를 사용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같은 면의 「미, SOFA개정 늑장」이라는 기사에서도 같은 지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SOFA 개정내용에 관한 설명이 없었기 때문에 독자들이 의아해 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27일자 신문의 1면 톱은 「고비용구조 더 악화」라는 기사였다. 시각적인 도표를 곁들이고 관련기사에서 고임금, 고지가, 고금리에 대해 자세한 설명이 있어 좋았다. 하지만 내외금리차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아무런 설명이 없는 것은 「옥에 티」였다.
같은 날짜 3면톱 「원연 간부 집단 보직사퇴」기사는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원자력사업을 한전에 이관하는 데 반발, 원자력연구소 연구원들이 보직을 사퇴하고 파업도 불사하겠다는 내용이었다. 또한 이러한 사태로 인해 대북 경수로 지원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정부조치에 대한 배경설명도 없고 연구원들의 보직사태와 파업위협에 대한 설명도 부족할 뿐만 아니라 이것이 왜 대북 경수로 지원에 차질을 빚게 되는 지에 대한 설명도 없었다.
경제기사, 정보화 관련기사, 법조기사 등에 있어서 전문용어들, 특히 영어약자가 많이 등장하고 있고 그 내용도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그러한 기사를 읽은 독자들에게 그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는지 물어본다면 많은 사람이 잘 모르겠다고 대답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용어나 내용에 대한 해설기사들을 많이 실어주었으면 한다. 뿐만 아니라 그 기사가 왜 그만큼 중요한지, 다시말하면 그 사건의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도 언급을 해주었으면 좋겠다.
현대 사회구조가 세분화하고 전문화하는 경향에 따라 기자들의 전문성이 강조되고 기사내용도 전문적일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지식수준이 그렇게 높지 않은 독자도 많다는 사실을 기사작성시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높다고 하더라도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거나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문외한인 경우가 대부분일 수도 있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고 기사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장익진 부산대 교수·미플로리다주립대 신문학박사>장익진>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