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화호 방류를 둘러싼 당국과 환경단체의 갈등은 우리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상황을 한마디로 대변해 주고 있다. 썩어 냄새가 진동하는 죽은 물을 바다에 흘려 보내려던 당국의 계획에 그렇게 할 경우 바다오염은 물론 해안생태계 파괴를 몰고 올 것이란 환경단체의 저지가 맞서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농어촌진흥공사는 장마권 진입에 맞추어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5차례에 걸쳐 2천5백만톤을, 또 7월1일부터 8차례에 걸쳐 5천6백만톤등 총 3억3천만톤 가운데 4분의 1인 8천1백만톤을 바다에 방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이 바닷가와 선상시위를 벌이며 이를 반대하는 바람에 일단 중단된 상태에 있다.
5천여만평의 국토확장을 위한 이 역사는 지난 87년6월에 시작되어 94년1월에 끝막이 공사가 이뤄졌고 내년말이면 사면보호공사를 마지막으로 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94년의 끝막이공사와 지난 3월의 해수유입차단공사후 주변공단의 폐수와 생활하수가 흘러들면서 죽은 호수가 된 것이다.
환경단체는 시화호의 물이 화학적산소요구량(COD)이 15PPM이 넘는데다 50㎝아래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탁해, 이를 바다에 방류할 경우 연안의 꽃게·낙지가 폐사하는 등 생태계 파괴가 불을 보듯 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환경부등 관계당국은 지금이 장마기간으로 빨리 물을 빼지 못하면 수해와 같은 재앙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많다며 화학적산소요구량 역시 별 문제가 없는데다 지난 5월9∼12일에도 3천6백만톤을 방류했음을 들고 있다.
우리는 이같은 사태에 대해 정부나 관계공사측에서 좀더 철저한 연구와 정확한 분석을 통해 근원적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고자 한다. 또한 그런 대책이 마련되어야만 방류로 인한 바다오염을 우려하는 국민을 비로소 설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당국이 이번에 추진코자하는 방류계획 자체가 근원적 대책은 포기한 채 방류만으로 책임을 벗어나려는 인상이 짙다. 시화호는 안산·시흥시와 화성군 등 3개 지자체에 연결되어 있고, 반월공단에만 6백50개, 시화지구에 4백개의 폐수 배출업소가 밀집돼 있다. 이같은 지역적 특성에 따른 엄청난 생활 및 산업폐수 근절대책은 물론이고 방류결과에 대한 확신과 설득도 없이 정부가 마치 장마철에 공해업소의 오수흘려보내기식으로 일을 처리할 수는 없는 것이다.
때문에 좀 늦어지더라도 당국과 민간전문가들이 중지를 모아 시화호 종합대책을 세워 오염의 확산을 막고 피해를 가장 최소화할 수 있다는 확신이 섰을 때 방류의 시기와 수준 및 간격을 정하는 게 합당하다고 생각된다. 시화호를 그대로 썩게 할 때 더 큰 재앙이 올 수 있다는 점도 설득시켜야 할 또다른 과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