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연,26·27일 12국 학자 참여 근대화과정 총체검토/정치학회, 27∼29일 하계학술대회 논문 80여편 발표한국은 「근대화한(modernized)」 국가인가. 「근대화(modernization)」를 서구화나 산업화로만 규정한다면 그렇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근대화의 출발점이 인간이성에 대한 믿음과 합리주의였음을 감안하면, 그렇다고 말하기 어렵다. 한국의 근대화과정은 외세의 강압에 의한 타율적 개방, 일제 식민통치, 군부 개발독재등 일탈의 연속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근대화와 근대성의 문제를 성찰하고 21세기 한국사회를 조망하는 큼직한 학술행사 2건이 이번 주에 열린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원장 이영덕)은 26, 27일 서울올림픽파크텔에서 제9회 한국학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주제는 「한국 근대화 100년―21세기를 지향하며」. 독일의 디이터 아이케마이어 튀빙겐대교수(사회학), 군터 볼파르트 부퍼팔대교수(철학), 월터 페인버그 미일리노이대교수(교육학), 박이문 포항공대교수(철학)등 12개국 학자 33명이 주제발표를 하는 행사는 1896년 갑오경장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근대화과정을 총체적으로 검토한다.
구범모 정문연교수(정치학)는 기조논문 「한국의 근대화에 대한 성찰」에서 경제성장과 민주화과정을 중심으로 근대화를 분석한다. 한국이 단기간에 산업화에 성공한 이유를 「국가의 개입」때문으로 보는 그는 『87년 6월 민중항쟁으로 쟁취된 민주화의 전기는 중남미에서와 같은 경제위기의 탈출책으로서가 아니라 정치엘리트들간의 타협의 산물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국가가 경제성장에 대한 개입을 줄이고 소득분배, 복지실현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재철 중앙대교수(교육학)는 「한국인의 근대의식발달을 억압한 일제의 교육」이라는 발표를 통해 자주적으로 생성되던 한국근대교육의 맹아가 일제에 의해 차단되는 파행양상을 되짚는다. 그는 일제가 「우민화교육정책」을 통해 한민족의 자주성 주체성 합리성등 근대의식의 발달을 억제하고 모방성 예속성 사대성 열등의식 정신적 혼미등의 전근대성을 조장했다고 분석한다. 포항공대 박이문 교수(철학)는 「21세기의 지향 생태주의적 문화의 선택」에서 맹목적 근대화의 추진에서 벗어나 서양적 세계관을 동양적 세계관 속에 통합한 형태로서의 「생태학적 세계관」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한국정치학회(회장 신정현 경희대교수)는 27∼29일 부산 파라다이스비치 호텔에서 「현대 한국정치의 재성찰―전근대성·근대성·탈근대성」을 주제로 하계학술대회를 연다.
회원학자 300여명이 한국정치 정치사상 비교정치등 30개의 패널로 나뉘어 80여편의 주제논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국교원대 한용원 교수(국민윤리교육과)는 「한국의 근대화과정에서 군부정권의 지배양식」이라는 논문에서 권위주의적 군사문화가 관용, 절제, 페어플레이등을 요소로 하는 시민문화의 성장을 어떻게 억압해왔는가를 파헤친다. 그는 『군사문화는 대화와 타협문화의 실종, 편향적 경쟁규칙의 파급등을 초래, 민주적 정치발전을 저해했다』며 이를 뿌리뽑는 것이 참된 근대화의 선행과제라고 말한다.
단국대 김성윤 교수(정책학과)는 「한국 민주주의의 한계―성, 종교, 지역적 분파」라는 주제발표에서 근대화를 「덜 발전된 국가 또는 사회가 더 발전된 국가 또는 사회의 공통적 특징을 획득해가는 변화과정」으로 정의하고 우리 사회가 민주화를 완성하려면 지역감정과 여성차별, 종교간 장벽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변형섭 기자>변형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