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은 제1회 「바다의 날」이다. 정부는 국민의 바다에 대한 인식을 드높이기 위해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5월의 마지막 날을 택해 이를 제정했다. 유엔해양법협약의 발효에 따른 신해양시대를 맞아 세계 각국의 바다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는 데도 이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아직 낮기만 하다.21세기는 해양시대가 될 것이라고 한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해양국가로 발전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지만 바다에 대한 인식부족등으로 체계적인 해양정책을 수립하지 못했다. 조선공업은 세계 2위, 해운·수산업도 세계 상위권이란 실적과는 달리 바다를 단순히 이용할 줄만 알았지 이를 종합적으로 경영하려는 체제마련을 소홀히 했다.
정부가 연초 「해양개발 기본계획」을 마련, 항만건설 및 해양개발등에 10년간 25조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것도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서다. 이제야 「해양한국호」의 닻을 올리고 해양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뒤늦은 항해를 시작한 것이다.
국가는 물론 인류의 미래는 자원의 보고인 바다의 개발에 달렸다고 한다. 바다를 얼마만큼 차지하고 개발하느냐는 국가의 존망 및 위상과도 직결된다. 2백해리 배타적 경제수역(EEZ)선포로 세계바다의 36%, 주요어장과 해저석유 부존량의 90%가 각각 연안국 경제수역안에 들어가게 된다. 이 때문에 일본 미국등은 오래전에 해양개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한뼘의 바다라도 더 차지하려고 혈안이 돼있다.
이같은 신해양시대의 흐름에 맞춰 해양질서도 개편되고 있다. 우리도 이에 따라 바다에 대한 기본개념을 새롭게 해야 한다. 바다의 조사 보호와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유엔해양법협약의 정신을 살려 바다를 보다 적극적이고 과학적으로 보호 및 개발하려는 미래지향적인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해양관계업무의 체계화와 해양관계법을 조사 보호 및 개발등 바다의 종합적 경영중심으로 정비해야 한다. 이러한 토대 위에 국제협력의 강화, 공동연구, 기술도입등을 통해 우리에게 부족한 해양기술인력 양성과 기술개발을 꾀하고 국민의 바다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만 해양강국이 될 수 있다.
국민의 바다에 대한 관심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해양정책의 효율성이나 국제해양환경을 우리에게 유리하게 이끌기 어렵다. 이미 일본과 중국이 EEZ선포로 우리를 압박하고 있다. 점차 거칠어지고 있는 국제해양환경을 헤치고「해양한국호」가 순항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참여해 노를 젓는다는 마음가짐이 요구된다. 바다의 날을 맞는 의의도 여기에 있다고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