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총선거에서 여당 국민회의당이 대패해 힌두교 지상주의의 야당인 힌두인민당(BJP)이 제1당이 되는 것이 확실해졌다.하지만 BJP의 획득의석도 과반수에는 멀어 중도좌파, 공산당연합의 국민·좌파전선(NF·LF)을 합친 3세력과 협력해야 할 형편이 됐다. 신정권이 어떤 조합이 될지, 그 행방은 다수파공작, 연립공작의 다음 얘기다.
그러나 종교색이 강한 BJP와의 연립을 꺼리는 정당이 많아 BJP 주도 연립정권은 곤란하다는 시각도 적지않다. 국민회의당이 신정권의 일각을 맡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인도정국의 유동화는 확실하다고 말해도 좋다.
국민회의당이 제1당의 자리를 잃은 것은 77년 총선 이래 처음이다. 77년 경우 당시 인디라 간디총리의 강권적 정치가 이유였다. 이번은 그때와 달리 확실한 이유가 발견되지 않는다.
91년 성립된 라오정권은 경제의 개혁·개방, 자유화정책을 실시, 외국직접투자가 90∼94년 4년간 110배 급증했다. 세계적 컴퓨터기업이 진출, 컴퓨터소프트웨어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도 94년도는 5.3%의 신장세를 보였다.
그렇지만 경제호전의 혜택이 빈곤층에는 미치지못해 빈부격차가 더욱 심해졌다. 야당은 부자 우대라고 비판했다. 뇌물 스캔들도 있었다. 부패체질 정당과의 선거협력 등 선거전술도 서툴렀다.
91년도의 라지브 간디총리 암살사건으로 인도의 정치와 국민회의당을 지배해왔던 「네루―간디왕조」가 붕괴, 국민회의당은 주도권 다툼의 내분을 초래했다. 국민회의당은 카리스마가 있는 지도자가 부족했다.
결국 유권자의 현상에 대한 불만이 국민회의당 자체의 문제와 겹쳐 국민회의당의 대패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BJP는 약진했다고는 할수있지만 압도적인 「바람」을 불러 일으키지는 못했다. 여당의 대패가 야당에 대한 기대를 의미하지 않는다는데 인도정치의 갑갑함이 있다.
BJP는 인구의 8할이 힌두교도인 인도를 힌두교국가로 선언하자고 주장한다. 핵무장과 대파키스탄 강경외교 등 민족주의적 주장을 펼쳐 나름대로 성공했다. 그 주장이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선거에는 온건한 바치파이 전외무장관을 총리후보로 전면에 내세웠다.
임시변통으로 BJP주도 정권이 생겨도 그 정책은 온건화할 수 밖에 없고 필요하기도 하다. BJP도 기본적으로는 자유화에 반대입장은 아니다. 문제는 충격을 얼마나 줄일 것인가 일뿐 자유화는 시대의 흐름이다.
다만 선거전술이라고 해도 핵무장 주장은 위험하다. 철회를 촉구하고 싶다.
인도는 여전히 네루―간디왕조 붕괴후의 과도기여서 안정과 발전에의 방향성을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대국 인도의 혼란은 지역을 불안정하게 만든다. 선거에 나타난 유권자의 불만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인도 정치의 최대 과제인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