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끝난 이후 국민들의 관심은 장차 시국 정국의 안정여부와 관련하여 15대 국회에서 선보일 여야관계, 그리고 정치의 내용과 모습에 쏠려 있다. 그런 점에서 3일간에 걸친 김영삼대통령과 야3당 총재들과의 개별적인 영수회담은 일단 화해의 정치, 대화 정치의 분위기를 조성했다고 볼 수 있다.이번 회담은 시기와 내용면에서 모든 영수들에게 일정한 소득을 보장했다. 김대통령으로서는 한미정상회담과 4자회담을 설명하기 위한 명분아래 서울서의 승리 등 총선서의 여당의 선전을 바탕으로 정국의 주도권을 잡는 계기로 활용했다. 또 김대중 국민회의총재는 총선패배에 따른 침체분위기에서 벗어나는 한편 정계은퇴―번복―복귀후 제1야당총재로 인정받는 전기가 됐고 작년 여당에서 사실상 축출된 김종필 자민련총재는 원내 50석 확보로 제1·2당간 완충역의 입지를 과시했으며 김원기 민주당대표는 총선참패후 민주당의 존재를 확인한 셈이 된 것이다.
이번 영수회담결과 대북한정책에서 초당적으로 협력하고 단상점거와 농성 등 구태정치를 탈피, 21세기를 준비하는 참신하고 생산적인 정치를 펼치며 과거청산, 즉 역사 바로세우기를 계속 추진하는데 함께 힘쓰기로 한 것은 적지않은 수확이다.
그러나 몇가지 현안에는 예상대로 시각차를 드러냈다. 우선 대선지원자금의 경우 노태우 대통령의 탈당후 만나지도 또 돈을 받지도 않았다는 김대통령의 설명에 대해 야당총재들은 여전히 인정하지 않았다. 야당은 이번 선거가 정부여당에 의한 관권·금권선거였으며 검찰의 선거사범수사가 편파적이라고 항의한데 대해 김대통령이 여야를 막론한 엄정한 수사·처벌과 함께 당선자중 여러명의 실격을 예고했음에도 공정처리에 의구심을 늦추지 않았다.
다음, 선거에서 국민이 만들어 준 판도의 존중을 들어 여당의 대대적인 무소속영입 자제를 촉구한데 대해 김대통령이 총선결과 여소야대가 아니라는 점과 또 상당수 무소속 당선자들의 입당의사 등을 강조한 것은 총선을 여당의 승리로 보고 또 세불리기를 늦추지 않겠다는 뜻이 분명하다.
아무튼 영수회담으로 여야가 대화정치와 평화공존에 합의했지만 이는 대체로 15대 첫 임시국회까지 한시적이 될 듯하다. 총선후 집안재편과 국민심판을 의식, 휴전은 불가피한 것으로서 예산국회부터는 각기 대선준비와 관련, 대결정국으로 접어들것같다.
여기서 여야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국민은 힘에 의한 여당의 일방적 독주도 야당의 무조건적인 투쟁방식의 정치도 더이상 용납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아울러 영수들은 더이상 당을 사당화(사당화), 1인체제화 하지 말고 당내민주화를 실천하여 보다 생산적인 정책경쟁을 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