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 주도권·차기대선 등 고려/「유리한구도」 찾기 대응책 분주야권 3당이 연일 여권의 정계개편론을 도마 위에 올리고 있다. 이를 처음 제기한 여권내부의 진화노력과는 뚜렷이 대조되는 태도이다. 그 배경과 속셈은 무엇일까.
야권3당의 시각과 속사정은 단적으로 『지금은 같으나 나중은 다를 수가 있다』는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지금」이란 총선과정을, 「나중」은 총선이후 대선까지의 정치적 변동기를 가리킨다. 요약하면 『총선에서는 대여공격의 소재로 함께 이용하지만 총선 이후의 상황과 관련해서는 각각의 계산이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얘기다.
우선 눈앞에 닥쳐온 총선을 의식, 야3당은 여권핵심인사들의 잇단 정계개편론을 여당의 정체성 및 이념면에서의 혼란으로 규정짓는데 이론이 없다. 여권내 개혁·보수세력간의 갈등, 차세대주자들간의 대립을 부추겨 국민의 대여불신을 심화시키는 효과를 노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여당이 선거전에 공식돌입하기도 전부터 스스로 여소야대를 자인한 것으로 몰아세워 여권의 전의를 상실케 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정계개편론을 『당내·영입인사간의 권력투쟁』(국민회의) 『사실상 선거전 패배를 자인한 셈』(민주당) 『자신감 상실의 반영』(자민련)등으로 폄하하는게 모두 이런 맥락이다.
그런가 하면 야권은 여당이 자신의 선거패배시 닥쳐올 정계개편상황등 정국불안정문제를 의도적으로 부각시켜 여성부동표를 흡수하려는 계산도 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국민회의는 「견제를 통한 정국안정론」을, 자민련은 「선거결과를 가정한 정계개편론의 허구성」을 집중홍보중이다.
총선과정에서의 「한 목소리」와 달리 총선 이후 상황에 정계개편론을 대입시켜 보면 야3당의 입장은 뚜렷이 엇갈린다. 총선후 정국의 주도권확보, 차기 대선구도 등을 둘러싸고 3당의 이해가 첨예하게 맞서있기 때문이다.
먼저 국민회의로서는 박찬종 전 의원의 「개혁세력연합론」보다는 김윤환 신한국당대표의 「보수신당론」이 주경계대상이다. 국민회의는 김대표의 주장을 차기대권창출을 고리로한 「신TK(대구 경북)·PK(부산 경남)연합구도」형성론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는 김대중 총재가 대선승리의 필요조건중 하나로 여겨온 「PK·TK분리, YS세의 PK고립화」구도와 어긋나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3당합당의 「악몽」이 재현되는게 아니냐』고 우려한다. 김총재가 자신뿐 아니라 선대위의 핵심당직자들까지 동원해 매일 여권의 「정계개편음모」를 강도높게 비난하고 있는 것은 이같은 화의 싹을 미리 자르려는 의도로 비친다.
반면 김종필 자민련총재의 생각은 이와 다른 것 같다. 김총재는 신한국당 김대표의 주장에는 선뜻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선거결과를 놓고 얘기하자』고 말해 선거후에 「보수팀 헤쳐모여」의 깃발을 들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사실 지역적 지지기반, 자민련의 인적구성상 취약점이 적지않은 김총재로서는 보수세력이 자신의 우산밑으로 모이는 상황은 「불감청고소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두 김씨가 보수신당론에 대해 동상이몽을 하고 있다면 민주당은 박 전 의원이 주장한 개혁세력연합론에 기울어져 있는 형국이다. 19일 새 주체선언을 한 이철 총무 등도 총선후 3김의 우산밑으로 들어가는 식의 개편에는 반대하면서도 개혁세력이 모이는 개편에는 주도권을 행사할 뜻을 밝혔다.
결국 야3당에 정계개편론은 당장은 대여공조의 끈, 총선후에는 분열과 이합집산의 촉매가 될 가능성이 큰 이중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신효섭 기자>신효섭>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