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사업 경쟁도입·98년 시장개방 안팎 압박/정부 조직개편 강력추진에 위기감 한층고조「81년 설립, 연매출 6조700억원, 직원 6만명」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간통신사업자인 한국통신이 거대공기업으로 남느냐, 소규모 공기업으로 분할되느냐의 기로에 서있다. 국제·시외전화 경쟁, 6월말 30여개 통신사업자선정등 숨가쁘게 진행되는 통신사업의 「자율참여」바람에 이어 98년 국내 통신시장이 외국업체에 개방되는 등 안팎으로 경영의 목을 죄는 악재들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랜 「독과점」이 빚은 비만현상으로 「몸놀리기」가 어렵고 국제·시외전화경쟁체제도입으로 매출액이 줄어들고 있다. 이런 와중에 정보통신부가 최근 국내 최대 기간통신사업자를 현 상태대로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아래 한국통신에 대해 일대 메스를 가하겠다고 공식 선언하고 나서 한국통신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한 분위기다.
이로 인해 한국통신직원들은 조직개편 및 자회사분리에 따른 감원설등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한채 대부분 일손을 놓고 있다. 정보통신업계 또한 국내 최대 통신장비수요처인 한국통신의 조직개편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국통신에 대한 정통부의 입장은 기본적으로「공정경쟁을 확보할 수 있는 조직으로의 변화」로 요약된다. 정통부는 98년 통신시장개방에 대비, 기간통신사업자의 경쟁력강화도 시급하지만 무엇보다 유일하게 시내전화망을 갖고있는 한국통신이 공정경쟁을 할 수 있는 틀을 시급히 갖춰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한국통신의 「공정경쟁확보」만이 국내 정보통신산업전체의 발전을 도모하고 시장개방에 대응할 수 있다는게 정통부의 시각이다. 이석채장관이 5일 이 준한국통신사장을 만난 자리에서 이같은 내용을 강하게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국통신은 정통부의 분위기를 감안, 최근 현재의 4개사업본부를 마케팅과 네트워크부로 이원화하고 114안내등 3개사업부문을 독립자회사로 분리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정통부가 이같은 경영합리화방안이 미진하다고 지적한 것으로 알려져 한국통신의 대대적인 추가조직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다.
이에 따라 공기업인 한국통신은 올해를 전후로 슬림화와 분할등의 대수술을 거친 후 97년이후 민영화로 넘어가는 등의 엄청난 변화를 겪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김광일기자>김광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