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분관 말뿐 시설운영비외 예산 전무/올부터 민간위탁 운영 불구 공연등 엄두못내문화시설은 지어 놓고 운영지원에는 무관심하다. 정부의 부실한 문화정책으로 정동극장은 여전히 절름발이운영을 계속하고 있다. 지난해 6월 국립극장 분관으로 설립된 서울도심의 문화시설 정동극장은 올해 운영주체를 사단법인 국립극장예술진흥회로 전환, 민간위탁운영을 시작했다. 그러나 자립에 필요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전무하다시피 해 공연을 기획하고도 추진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동극장에는 시설운영비 외의 공연예산이 전혀 책정되지 않고 있다. 정부직제상으로는 국립극장 분관이지만 별도 예산이 없어 정동극장은 국립극장의 인력과 예산을 쪼개 쓰는 더부살이생활을 해왔다. 성공을 거둔 갖가지 문화전략도 알고 보면 어쩔 수 없어 마련한 고육지책들이다. 정동극장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정오의 예술무대」, 30∼40대를 겨냥한 「돌담길 추억이 있는 음악회」, 청소년을 주관객으로 설정한 「김영동의 소리기행」등을 기획하고 기업협찬을 통한 차·도시락 끼워팔기, 문화상품권 발행등의 아이디어로 매진을 기록하는등 높은 호응을 얻었다. 그 결과 의외로 지난해 6개월간 1억원 가까운 입장수입을 올렸으나 수익금이 국고로 계상돼 정동극장의 운영자금으로 재투자되지 못했다.
올해 책정된 국가예산은 여전히 시설운영비 명목의 5억5,000만원. 재경원관계자는 『극장운영은 민간위탁이 효율적』이라며 『현재로서는 인력과 예산을 늘리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정동극장측은 민간위탁경영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주장을 인정하면서도 『「밑천」이 없는데 아이디어가 있다 해도 어떻게 추진하겠느냐』고 말하고 있다. 독립채산제는 시작됐지만 당장 지원금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88년 독립법인으로 출발한 예술의전당도 초기에는 국고 외에 공익자금을 지원받아 안정궤도에 올랐다. 정동극장의 경우 규모가 작아 기업들이 협찬을 꺼리는데다 입지조건상 유동인구가 적어 대관도 원활하지 못하다. 지난해 국립극장과 같은 수준의 저렴한 대관료를 책정했는데도 대관은 한 건뿐이었다.
국내 최초의 근대극장 원각사를 복원한다는 의미로 설립된 정동극장은 개관 이전부터 공사지연, 설계변경으로 우여곡절을 겪었고 개관후 재공사를 하는 소동까지 벌어졌었다.<김희원기자>김희원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