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기술 한국” 이젠 로열티 챙긴다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기술 한국” 이젠 로열티 챙긴다

입력
1996.01.22 00:00
0 0

◎반도체·화학·원자력·전기 등 첨단 기술 총망라/후진국은 물론 미·일에도 거액받고 수출 급증우리나라가 「기술수출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 독일 일본등 선진국으로부터 연간 수천억원씩 로열티를 내고 각종 산업기술을 도입해왔던 우리가 이제는 그 기술들을 응용, 새로운 기술을 창출해 해외에 수출하는 단계에 이른 것이다. 수출하는 기술분야도 반도체에서 원자력 화학 건설 자동차 컴퓨터 전기등 첨단부문으로 폭넓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들어서는 우리보다 못한 후진국 뿐만아니라 미국 일본등 기술선진국으로도 우리 기술이 수출되고 있어 지켜보는 사람들을 뿌듯하게 해주고 있다.

LG반도체는 지난해 7월 판매액의 8%씩을 기술료로 받는 조건으로 미국의 메타소프트웨어사와 반도체설계소프트웨어 「랑데뷰」공급계약을 체결했다.

LG가 89년부터 5년에 걸쳐 개발한 랑데뷰는 반도체와 각종 전자회로를 설계하는 기본소프트웨어. 256메가D램이나 1기가D램등 차세대 반도체를 설계할 때 초미세한 회로선폭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전압강하현상과 도선 상호간의 간섭현상을 효율적으로 파악, 제품개발 초기부터 정확한 설계를 가능하게 해주는 세계최초의 반도체 통합설계기술이다.

메타소프트웨어사는 세계 각국에 반도체설계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LG는 97년까지 80억원의 기술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LG는 94년에는 미국의 반도체소프트웨어 개발회사인 TMA사에 반도체회로를 설계하면서 중간중간 제대로 설계되고 있는지를 검증할 수 있는 반도체설계시스템인 「SIMS」를 10만달러 선취금에 매출액의 28%를 받는 조건으로 수출하기도 했다.

현대전자는 94년 4메가D램 생산기술을 선취금 250만달러 및 순매출액의 2%를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으로 일본 후지쓰사에 판매했다.

한국원자력연구소는 94년 미국 EPRI사에 원전종합안전평가전산시스템을 15만달러를 받고 판매했다. 원자력연구소가 3년여 연구끝에 개발한 이 체계는 체르노빌원자력발전소 사고와 같은 대형 원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첨단컴퓨터시스템. 원전내 각종 기기를 조작하는 사람들의 행동반경, 정전 가능성, 각 설비의 구조등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컴퓨터는 사고가 날 가능성이 있는 곳을 분석해 알려주게 된다.

원자력연구소 관계자는 『EPRI는 미국내 150여개에 달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맡는 기관으로 우리기술진이 만든 컴퓨터시스템이 미국 원전의 안전을 지키는 핵심장치로 활용되게 된 것』이라며 『앞으로 시스템을 더욱 보완해 일본과 유럽 각국에도 수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지난해초 축산폐수처리장치 제조기술을 착수금 15만달러에 매출액의 5%를 경상기술료로 7년동안 받는 조건으로 타이완의 에어킹인더스트리사에 수출했다. 한국화학연구소도 94년 일본 야마노우치제약회사에 일시불 3억엔 및 매년 매출액의 4.5%를 기술료로 받는 조건으로 비마약성진통제 생산 특허기술을 판매했다.

또 아남건설은 지난해 11월 필리핀의 컨스트럭션필리핀사에 반도체조립공장 건설기술을 판매했고 LG전선은 베트남의 VINA케이블사에 고압전력케이블 제조기술을 이전하는등 기업체와 연구기관들이 각국에 기술을 수출하는 사례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박정규기자>

◎생산기술은 선진국 버금/기반기술은 여전히 낙후/작년 1,000억원대 기술수출 불구/특허 등 산업재산권 10여건 불과

우리나라가 한해동안 외국업체들로부터 산업기술을 도입하고 지불하는 로열티는 92년 6,500억원에서 93년 7,230억원, 94년 9,780억원으로 증가했으며 지난해에는 1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자동차 엔진 하나에도 50여개의 국제특허가 걸려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가 선진국들이 생산하는 상품과 비슷하거나 더 뛰어난 상품을 개발해 수출하려면 기술도입은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아직도 항공 전자 통신 컴퓨터등 첨단분야는 선진국의 뒤를 따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앞으로도 기술도입 증가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다만 국내 업체와 연구기관들이 선진국들로부터 이전받은 기술을 얼마나 빨리 소화해 응용기술을 내놓느냐가 과제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같은 차원에서 최근 외국으로 수출되는 우리 기술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큰 의미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기술수출은 80년대말까지만 해도 연간 100억원도 못 미치는 미미한 수준을 보이다 90년대들어 큰 폭의 증가세를 나타내기 시작했다. 92년 250억원이던 기술수출규모는 93년 347억원, 94년 854억원으로 늘어났으며 지난해에는 1,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현재 우리의 기술수출은 ▲특허 실용신안 상표등 산업재산권을 이전하고 대가를 받는 경우 ▲해외에 합작투자하면서 기술수출을 병행하는 경우 ▲외국인 산업기술연수를 통해 기술을 전수하는 경우등으로 세분되고 있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특허등 산업재산권 수출이다. 첨단기술이야말로 컨테이너로 선적할 필요도 없는 최상의 수출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같은 산업재산권 수출은 연간 10여건에 불과할 만큼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는게 현실이다.

정부도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를 통해 기술수출을 지원하고 산업기술수출을 통해 얻는 소득의 100분의 50에 상당하는 금액을 각 과세연도의 소득금액에서 공제해주는등 적극적인 부양책을 추진하고 있다.

현대전자 관계자는 『산업역사가 짧은 우리나라가 부분적으로나마 기술을 수출하기 시작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며 『다만 국내 기업들의 생산기술은 선진국에 버금갈만큼 향상되고 있으나 기반기술은 10년이상 뒤져있는 경우가 많은만큼 정부가 기반기술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기 바란다』고 말했다.<박정규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