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성건설의 부도는 충격적이다. 30대 재벌에 들어가는 거대 기업집단의 모기업이 부도를 내고 쓰러진 것은 근래없는 일로 그 충격파가 엄청나다.우성그룹 산하 8개 계열기업과 4천여 종업원들이 당장 타격을 입게 된 것은 물론이고 2천9백여개 납품업체들과 하청업체들도 연쇄부도 위기에 몰리게 됐다. 3만여 가구의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이 피해를 입고 1조2천여억원의 여신을 해 준 금융기관들도 파문에 휘말려들게 됐다.
특히 건설업계는 유원 삼익등 대형업체들과 대륙토건 삼보건설 영진 무등 덕산등 중견업체들이 줄줄이 부도를 내고 쓰러져 부도사태의 위기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전체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쳐 하강국면에 들어선 경기를 급랭시킬 우려에다가 시국불안을 벗어나 겨우 안정을 찾아가는 재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우성의 부도는 방만한 경영과 무절제한 여신, 안일하고 무책임한 정책등 복합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기업과 금융권, 정부가 모두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성은 92년 삼민기업을 시발로 용마개발 청우건설등 5∼6개 기업을 잇달아 인수했고 한진개발을 매입, 콘도사업에 진출하면서 안성에 40만평 규모의 골프장 부지를 사들이기도 했다. 장기화하고 있는 건설불황 속에서 지나치게 무리한 사업확장을 해온 것이다.
금융권은 적극적인 경영지도나 책임있는 금융지원등 주거래은행과 채권자로서의 책무를 성실히 하기 보다 발을 빼는데만 급급했던 인상을 주고 있다. 지금이 부도를 내야할 적절한 시기였는가도 의문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계속돼온 건설업계의 구조적 위기와 연쇄부도사태에 대해 너무나 안일하게 대처했으며 지금도 유효한 정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부도는 돌이킬 수 없게 됐다. 우성과 관련 금융기관 및 정부는 지금부터 사태수습에 최선을 다 하는 수밖에 없다. 우선 입주예정자들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기왕의 분양보증과 착공보증의 차질없는 이행을 관계당국에서 책임지고 감독해 주어야 한다. 납품 하청업체들의 연쇄도산을 막기 위해 재경원과 금융권에서도 긴급대책을 마련, 파급영향의 확산을 조기에 차단토록 해야 할 것이다.
갈수록 고조되고 있는 건설업계의 구조적 위기를 해결할 보다 근본적인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 미분양이 적체되고 부동산처분등 자구노력은 벽에 부딪쳐 있는데 금융권의 자금줄죄기는 계속 강도를 더 높여가는 상황에서는 제2, 제3의 우성이 속출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교훈을 얻는 것이다. 방만한 경영과 무책임한 금융, 안일한 정책에 대해 모두 반성이 있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