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 “수질오염 가중” 격렬 반대/대구지역 “경제활로 양보못해” 강경/지자체간 대립양상… 총선 핫이슈로낙동강변 위천공단조성계획을 둘러싸고 이를 추진하는 대구권과 반대하는 부산·경남권간의 갈등이 새해들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대구시는 죽어가는 지역경제를 살리기위해 반드시 공단을 만들것이라고 거듭 못박고 부산시는 낙동강 식수원을 위협하는 공단은 절대 들어설 수 없다며 강경 대응태세를 보여 위천공단문제는 거대 지자체간의 최대현안이자 총선의 뜨거운 이슈로 등장할 전망이다.
위천공단조성문제는 경북도가 91년 12월 낙동강인근인 달성군 논공면 상리일대에 섬유 염색 기계등 산업을 유치하는 104만평규모의 지방공단조성계획을 세우면서 표면화하기 시작하다 조성규모와 유치업종, 낙동강수질오염문제등에 따른 중앙부처간의 이견, 부산권의 반대등으로 93년이후 흐지부지됐었다. 그러다 지난해 3월 달성군이 대구시에 편입된후 대구시가 국가공단지정을 건교부등에 건의한데 이어 이를 제1 선거공약으로 내세워 당선된 문희갑시장이 취임이후 본격 추진하면서 부산·경남지역과의 갈등이 첨예화했다.
문시장은 지난해 7월 대구 달성군 논공면 위천 상리 하리 금포리일원 220만평에 기계 자동차산업등을 유치하는 「대구위천국가산업단지」조성계획을 세우고 중앙에 국가공단지정을 건의하고 나섰다.
이후 낙동강하류인 부산·경남지역에서는 강물오염을 크게 우려, 부산·마산시와 시의회, 낙동강2000위원회, 부산시환경운동연합, 경실련, YMCA, 흥사단, 낙동강보존회등 기관과 각종 단체들이 반대운동을 벌이고 여성단체협의회를 중심으로 100만명서명운동이 전개되는가 하면 대구시를 찾아 집단항의를 하는등 반발이 거세게 일어났다.
식수의 80%를 낙동강에 의존하고 있는 부산·경남지역 주민들은 갈수록 수질이 악화하고 있는 낙동강수질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없이는 낙동강의 수질환경을 저해하는 어떤 목적의 공단조성도 불가하다고 주장한다.
대구시는 낙동강하류지역의 거센 반발을 의식, 지난 9일 「위천국가산업단지조성 중간보고회」를 갖고 『당초의 염색업종 유치계획을 백지화하고 자동차, 기계, 전기등 첨단산업을 유치하며 질소, 인까지 처리가능한 3차하수처리시스템을 갖추는 한편 최종방류수 수질을 법정기준치인 BOD(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20PPM보다 크게 강화된 10PPM이하로 낮춰 처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91년 페놀사태이후 수차례의 수질파동을 경험, 수질공포증을 갖고 있는 부산·경남지역 주민들은 이를 믿으려하지 않는다. 법정수질기준의 절반농도로 하수를 처리하는데는 시설·운영비가 엄청나게 들어 사실상 공단운영이 불가능하고 전자산업의 경우 톨루엔등 난분해성 오염물질배출이 불가피한데도 이에 대한 대책이 빠져 있는등 곳곳에 문제가 많다며 공단조성반대운동의 수위를 오히려 더 높일 것을 공언하고 있다.
부산에서는 18일 부산환경보전연맹이 위천공단조성저지를 위한 규탄대회와 낙동강사망모의 영결식을 하고 대구로 몰려가는등 반대운동이 더한층 거세지고 있다.
전국 대도시가운데 유일하게 국가공단이 한 곳도 없는등 산업기반이 취약하고 지역경제가 크게 낙후돼있어 지역생존을 위해 공단추진이 필수적이라는 대구시. 생명줄인 물의 오염을 막기위해서는 낙동강유역 공단설치를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는 부산·경남. 쌍방간에 이해가 다른 생존론을 내건 갈등과 분쟁은 본격 지자제시대에 지역간의 협력과 조화가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가를 실감케한다. 위천공단문제는 결국 국가조정력까지 동원돼 풀어야할 올해 최대난제중의 하나이다.<부산·대구=유명상·목상균기자>부산·대구=유명상·목상균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