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라고만 여겨온 우리의 인식이 크게 바뀌어져야 할 것 같다. 인식의 전환은 필연적으로 치밀한 연구와 대비책도 수반하는 것을 뜻한다. 최근들어 전세계적으로 크고 작은 지진이 빈발하는 것과 함께 우리나라에서도 종전에 볼 수 없었던 지진다발 현상을 보이고 있고 그 규모 또한 조금씩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8일 발생한 경남 울산 앞바다의 규모 3·5지진은 바로 이틀전의 강원도 삼척 앞바다(규모 3.7)에 이은 것이었고 10월들어서만 4번째인데다 올들어 25번째로 연평균 발생 횟수 17회를 훨씬 뛰어넘은 것이다. 학계에서조차 예사롭지 않은 이같은 지진빈발에 정확한 원인규명과 대책수립이 시급함을 강조하기에 이르렀다.
우리는 올들어 발생한 세계의 대지진중 1월의 일본 고베지진과 5월의 사할린 지역의 참화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연이은 일본 중국 알래스카등 태평양 연안과 지중해지역의 지진발생상황을 보면서 각종 공해등에 의한 기상이변처럼 지구 땅속에 어떤 변화가 일고 있지 않나 걱정스러워진다.
실제로 전문가들도 우리나라가 환태평양지진대와는 다르지만 규명해야 할 점이 많다면서 80년대 중반이후 다소 주춤했던 지진활동이 91년부터 남한을 중심으로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에 대지진의 발생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음을 밝힌다.
이러한 상황인데도 우리가 현재 갖추고 있는 지진대비기구나 장비등은 그야말로 한심한 수준일 뿐이다. 지난 78년 홍성 지진에 자극받아 다음해인 88년부터 고층, 대형건물에 대해 그리고 92년부터는 도로와 교량에 대해 내진설계를 의무화한 것이 고작이다.
또 지진연구소나 전담부서는 고사하고 담당전문공무원조차 없이 기상청직원 2명이 일기관측을 함께 하면서 지진관련업무를 맡고 있을 뿐이다. 그뿐만 아니라 서울·부산등 전국 12개 관측소에 설치된 지진계와 진도계는 간이형 아날로그방식으로 외국의 첨단 디지털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성이 크게 뒤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지진발생횟수가 늘어나면서 기상청은 지진과의 신설 필요성을 강조, 총무처에 그 뜻을 전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 지역별 발생빈도와 위험도등을 취합 분석하고 지진으로 인한 지상과 해일로부터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강조한 것이었다.
지금 시민들 사이에서는 지진공포신드롬이 서서히 일고 있는 것도 모두 이같은 대책부재에서 비롯된 것임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지진에 대한 관심과 연구를 강화하고 전담부서의 신설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