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개위 전문대 발전안서 진일보/전문대 경직성·일반대 이론치중 단점 보완/많은 투자 필요… 단시일내 현실화 어려워5일 공청회에서 교육부 연구시안으로 발표된 3년9학기제 산업중심대학 신설방침은 그동안 교육부와 교육개혁위원회등에서 검토해 온 전문대 발전개선방안에서 한걸음 더 나간 내용이다.
지금까지 교육부는 현재 3년6학기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문대 보건·의료관련 9개학과 외에 정보통신 방송기술등 3년제과정 학과를 늘려, 이들에게 전문학사를 주는 선에서 개선방안을 검토해 왔다.
산업중심대는 산업현장에 밀착된 전문기술인력을 길러낸다는게 설립배경이다. 이날 발표된 연구시안도 산업중심대학이 현장실습을 강조한 새로운 형태의 대학교육체제라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있다. 백화점식 학과나열형태의 4년제 일반대학과 수업연한, 교과과정등 학사운영이 경직된 전문대는 산업체현장적응력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배경에 깔려있다.
특히 전문대의 경우 기계, 전자, 정보통신학과등은 수업연한이 2년으로 너무 짧아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인력 배출에 한계가 있으며, 4년제대학도 강의가 이론 위주여서 「절름발이」 인력만을 공급해왔다는 것이다.
연구시안이 학기당 10학점씩 2학기이상의 실습학기를 운영해야 하며, 각 시도마다 지역별 산업특성을 고려한 공동실습장을 1개이상 설치토록 하는 등 현장실습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도 이런 까닭에서다.
그러나 현재의 실정으로 볼 때 산업중심대학의 신설이 빠른 시일안에 현실화하기는 어렵다는게 교육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3년만에 동등한 학위가 주어지는 것에 대한 4년제 일반대학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고, 교육부의 당초 방침대로 3년제과정의 학사학위수여를 주장해 온 대부분 전문대의 불만도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산업중심대학의 성패를 가름할 산업체의 투자나 실습기자재 확충등 산업중심대학으로의 전환을 뒷받침할 교육여건도 문제다. 오히려 일부 전문대가 재정난 타개책의 일환으로 교육여건의 개선없이 산업중심대학으로 이름만 바꿀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교육부관계자가 『공청회에서 제시된 내용은 어디까지나 연구시안일 뿐 곧바로 정책으로 이어진다는 뜻은 아니다』고 강조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 이해된다.<최성욱 기자>최성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