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를 붉게 물들인 적조현상은 과연 불가항력인가. 식물성 플랑크톤의 이상 번식이라는 생물학적 원인외에도 수심이 얕고 해안선이 복잡한 남해의 자연 조건때문에 적조는 어쩔 수 없다는게 환경부의 말이다. 적조는 「막을 수도 퇴치할 수도 없는 자연현상」이라는 인식이 엿보인다. 환경부가 내놓은 대책도 해저청소나 선박을 이용한 공기 주입이 고작이다.육상에서 유입되는 질소와 인이 풍부해지고 햇빛과 수온이 적당한 상태에서 적조가 발생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환경부 지적대로 해류와 바람의 영향을 적게 받는 폐쇄성 내만수역이 남해에 많다는 점, 일사량이 풍부한 계절적 영향이 적조피해 확산에 한 몫 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같은 자연적 요인이 수백만 마리의 양식어가 떼죽음 당할 때까지 손을 놓고있던 환경부등 관련기관의 무사안일함마저 덮어주는 것은 아니다.
적조현상이 첫 발생한 지난 3일 이후 먼산 바라보듯 하던 환경부는 적조에 유조선까지 침몰, 엎친데 덮친 격으로 어민의 피해가 가중된 21일에야 여론을 의식, 대책회의를 여는등 사후약방문식 대책 마련에 허둥거렸다. 적조가 처음 발생했을 때 응급 조치만 했더라도 과연 지금과 같은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을지 환경부는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정부는 그동안 해양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갖가지 정책을 내놓으면서도 어민 삶의 터전인 연근해 해양환경보전에는 인색했다. 매년 되풀이되는 적조로 어민들의 신음소리를 들으면서도 육상 유입 오염물질 예방을 위한 환경기초시설 건설은 언제나 사업우선순위 끝에서 맴돌았다.
환경파괴를 방관할 때 환경은 우리에게 어떤 대가를 돌려주는지 붉게 변해가는 남해바다는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