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황금산업지대」 조성 부푼 꿈/5국 협력위 설치 체결로 내년부터 민자 본격 투자/혼춘등은 이미 88년부터 경제특구지정 SOC확충/우리측도 “통일 디딤돌” 분석 자금·기술 적극제공「황금삼각지대」. 북한의 나진·선봉지역과 청진항, 중국의 투먼(도문)과 훈춘(혼춘), 러시아의 자루비노와 블라디보스토크등 두만강을 둘러싸고 수천에 걸쳐 펼쳐진 3국의 접경지대를 일컫는 말이다. 중국과 러시아의 무궁무진한 천연자원과 북한의 풍부한 노동력에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기술력과 자본력이 결합할 경우 가공할만한 경제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천혜의 산업벨트 요건을 갖추고 있다. 또 이 삼각지대는 시베리아대륙과 동해와 태평양의 대양이 마주치는 접점에 위치해 있다. 일본과 한반도의 동해안에서 시베리아철도를 경유해 유럽까지 이르는 최단거리 교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지리적 요충지에 있는 셈이다. 동북아는 물론 세계의 경제지도를 뒤바꿔놓을 만한 「황금의 가치」가 묻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두만강지역개발계획(TRADP)은 동북아국가의 새로운 경제적 도약을 위해 이 삼각지대를 거시적으로 개발하자는 것이 기본취지다. 유엔개발계획(UNDP)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이 개발계획은 UNDP가 국제협력사업으로 시도하는 첫 사업. 중국 러시아 남·북한 몽골등 5개국이 계획관리위원회(PMC)를 구성, 정식 멤버로 활동하고 있고 일본은 옵서버다. 91년 7월 몽골 울란바토르회의에서 처음으로 논의가 시작돼 92년 10월 베이징(북경)2차회의 93년 5월의 평양3차회의등을 거쳐왔다.
이 사업에는 기본적으로 점차 블록화하고 있는 세계경제질서에 대응, 동북아국가들간에 공동의 생존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절실한 인식이 깔려 있다. 각국이 두만강개발계획에 거는 기대가 각별할 수밖에 없다.
「세기를 넘고 국제를 가로타는 공정」 중국은 두만강개발계획을 이렇게 부르고 있다. 개혁·개방정책의 실질적인 성공을 위해 이 개발계획에 상당한 비중을 얹어놓고 있다는 뜻이다. 이 계획을 제일 먼저 주창하고 지금까지 가장 주도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도 중국쪽이다. 이미 88년 훈춘지역을 경제개발특구로 지정, 두만강지역개발계획의 거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착착 실현해가고 있다. 요즘 훈춘은 훈춘―자루비노 철도 건설이 이루어지는 등 개발열기로 뜨겁다.
좌초위기에 있는 북한으로서도 두만강개발계획은 경제난국을 타개할 수 있는 유일한 돌파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91년 나진·선봉지역을 자유경제무역지대로 선포함과 동시에 청진항을 자유무역항으로 지정하고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 나서는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북한은 지금 경제를 일으킬 만한 힘(자본)이 없다. 한국기업과 외국기업의 자본은 물론 사회간접자본 확충을 위해 두만강개발계획에 투입될 UNDP의 방대한 자금이 한시라도 아쉬운 판이다.
우리에게 두만강개발계획은 북방정책의 실현을 위한 교두보다. 이 지역의 개발에 기술과 자금을 제공함으로써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개선을 더욱더 밀도있게 추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프로젝트를 통해 북한과의 협력이 실현될 것에 대한 기대감이다. 남북통일의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기대가 큰 만큼 각국간 이해관계도 복잡하게 얽혀있다. 자국 중심으로 개발계획을 이끌어가기 위한 힘겨루기로 개발계획은 4년여가 지나도록 이렇다할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난 5월말 중국 베이징에서 열렸던 제5차 계획관리위원회는 사문화우려가 높았던 두만강개발계획에 희망을 던져줬다. 이 회의에 참가한 남북한 중국 러시아 몽골등 5개국 대표간 「5국간 두만강개발지역 및 동북아개발을 위한 협의위원회(커미션) 설립협정」이 체결된 것이다. 협의위원회는 내년초쯤 서울 베이징 블라디보스토크등 3개도시중 한곳에 설치돼 정식으로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다. 구체적인 개발사업 프로그램의 작성과 타당성 검토가 진행되고 점차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한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만강을 젖줄로 한 본격적인 동북아경제시대의 막이 오르고 있는 것이다.<하얼빈=김병주 기자>하얼빈=김병주>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