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형태론 지속성장 어려워/정식민영화 차기정부 넘어갈 가능성높아산업연구원(KIET)은 7일 한국중공업을 민영화하는 방안으로 기업공개전 일정지분을 종업원에게 배정하고 기업공개후 경영권확보에 필요한 지분을 한 기업에 매각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는 기업을 공개한뒤 컨소시엄형태보다는 한 기업에 한중의 경영권을 넘겨야 한다는 견해로 정부가 KIET의 의견을 따를 경우 한중의 정식 민영화는 차기정부로 넘어갈 전망이다.
KIET 송기재 연구위원은 이날 「한국중공업의 민영화방안」이라는 연구용역보고서를 통해 『시장개방과 발전설비일원화 해제방침등으로 한중의 민영화는 불가피하다』고 전제, 『국가적으로 전략산업인 발전설비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여러 기업이 동시에 경영에 참여하는 컨소시엄보다 확실한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는 한 기업이 한중의 대주주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송연구위원은 한중의 공개전 민영화와 단계적 공개, 일시공개등 3가지 방법에 따른 8가지의 민영화방안을 제시하면서 이같은 의견을 밝혔다.
KIET의 이같은 의견제시는 지난해 7월 통상산업부로부터 한중의 민영화방안을 검토해 달라는 용역에 따른 것으로 통산부의 기본방침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따라서 올해말까지 한중의 민영화방안을 최종 확정할 통산부는 KIET의 이번 용역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민영화방식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한중의 민영화는 빨라야 새 정부가 들어서는 98년2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중의 재산과 관련, 사옥소유권과 정산금등을 놓고 계류중인 소송이 빨라야 내년중 매듭지어지고 법적 공개절차를 밟을 경우 추가로 1년2개월가량의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 정부는 한중 민영화에 따른 특정기업에 대한 특혜의혹등을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중의 경영권인수에 관심을 높이고 있는 기업은 현재 현대와 삼성 대우 LG 한라등이다. 94년기준 총자산 2조원인 한중의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5천억원내외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예측됐다.<이종재 기자>이종재>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