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여권일각 정국 정면돌파론/청와대·민주계소장파 중심 제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여권일각 정국 정면돌파론/청와대·민주계소장파 중심 제기

입력
1995.07.29 00:00
0 0

◎“개혁·세대교체 후퇴불가 거부세력 이탈도 감수”/민정계 처방과 정반대… 권력투쟁적 요소도 작용/YS 귀국구상 관련 관심집중김영삼 대통령의 귀국을 앞두고 여권 내부에 정면돌파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청와대와 민자당 민주계 소장그룹을 중심으로 『개혁정치 세대교체라는 명분은 포기해서는 안되고 포기할 수도 없다』는 주장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국민정서도 기존정치세력에 회의적이다』고 전제, 『능력있는 개혁적 신진인사들로 새 정치세력을 구축, 국민의 심판을 받자』고 주장하고 있다. 심지어 소장파의 일부인사는 『보다 철저하고 진실한 개혁을 추진하다가 국민지지를 받지 못하면 야당를 하면 되지 않느냐』는 극단적인 말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 이들은 또 『개혁의 일부 문제를 시정하되 그 본질은 강화한다는 입장을 천명하고 이를 거부하는 세력의 이탈은 감수하겠다』는 경고성 발언까지 하고 있다.

민주계 장자 그룹들도 선거직후에는 여권결속, 개혁정치의 완화를 주장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소장그룹들의 정공법에 공감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민자당이 선거패배원인을 모두 김대통령의 책임으로 몰아붙이는 등 「면피자세」로 일관하자 민주계 장자그룹들의 생각이 변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만섭 전국회의장 등이 당풍쇄신 서명운동을 벌이자 민주계 내부에서는 『개혁정치의 후유증이 있다고 해서 아무나 돌을 던질 수 있느냐』는 노골적인 반감이 폭넓게 확산되고 있다. 민주계의 태도변화에는 『계속 밀리면 결국 권력의 중심축이 넘어갈 수 있다』는 위기감도 한몫하고 있다. 따라서 정면돌파론의 이면에는 권력투쟁적 색채가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면돌파론은 민정계가 요구하는 정치기조의 변화, 당우위구도 구축, 개혁정책 보완, 구여권세력 포용 등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 엄밀히 말하면 민정계의 시국처방과는 정반대의 논리라고 할 수 있으며 양자의 이러한 시각에서는 사실상 접점이 없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정면돌파론의 기저에는 구여권색채가 노골적인 정치인, 축재 등으로 물의를 빚은 의원들을 배제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민정계가 이를 순순히 수용하기 힘든 측면이 바로 이 대목이다. 일부 민정계의원들은 『어차피 민자당 공천이 어렵다면 일찌감치 탈당하는 편이 낫다』고 말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당장 여권내부에 파열음이 생긴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우선 김대통령이 어떤 논리를 택할지 명확하지 않고 정면돌파론을 받아들인다 해도 이를 구체화하는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소장그룹들이 김대통령 귀국후 건의할 내용 가운데 이른 시일내에 가시화할 조치들은 별로 없다. 이들 논리의 요체는 『개혁에 동참하는 세력들로 총선을 치르자』는 내용이기 때문에 구체화 시기는 연말이나 내년초라고 할 수 있다.

실제 내년예산을 처리해야 하는 정기국회를 감안하면 무엇보다 민자당이 현재의 과반수 의석을 지켜야 한다는 전제가 서 있다. 만약 민자당이 일부 의원들의 이탈로 여소가 된다면 총선의 전초전인 금년 하반기정국부터 고전을 면치 못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정면돌파론자들도 『일단 당정개편, 민자당의 지도체제개편으로 분위기를 쇄신하고 당내 결속을 유지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각 계파는 김대통령이 귀국후 밝힐 정국구상에 관심을 쏟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이 드러나면 중진의원들을 비롯, 각 계파의 움직임 등 여권내부의 흐름이 구체화할 것으로 보인다.<이영성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