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누출 오염사고는 안전관리부실이 빚은 또 하나의 사고다. 안전관리 ABC조차 돼 있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사고가 이 정도였던 것이 천만다행이라 할 수 있다. 수건으로 방사능을 닦아내는 것이 우리 방사능 관리의 현주소라니 한심하기까지 하다. 가장 위험한 원자력을 다루면서도 이처럼 원시적으로 대처하고 그나마 이를 숨기는데 급급한 당국의 안전의식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원자력은 화석연료의 한계성과 공해문제가 제기된 후 대체에너지로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 많은 나라가 원전건설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라고 예외가 아니다. 그 숫자는 「인류가 원자력의 포위속에 살 날이 멀지 않다」고 앞날을 우려하는 여론이 점점 목소리를 높일만큼 아주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원전은 항상 대형재난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86년 4월 옛 소련의 체르노빌원전사고는 좋은 교훈이 된다. 각 나라가 이 사고후 원자력안전관리를 이중삼중으로 강화하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일이다. 원전을 가동한지 17년이 지났는데도 우리의 원전관리가 아직도 원시적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것은 당국의 무감각을 탓할 수밖에 없다.
이번 사고를 살펴보면 어느 것 하나 믿을 수 있는 구석이 없다. 미비하고 낡은 방사성폐기물 처리설비를 방치한 것이나 이로 인한 방사능누출의 위험성이 있는데도 운반용기나 차량의 방사능오염도도 제대로 검사하지 않은 것 모두 그렇다.
방사능오염 사실이 밝혀진 뒤에도 주민이나 직원들의 안전에 대한 위협을 방치한채 한달 이상 이를 감춰온 점에 이르러서는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다. 은폐는 누출보다 문제가 더 크다고 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이 어떻게 당국의 원자력관리행정을 믿고 따르겠는가.
원자력은 위험한 만큼 관리는 국민의 신뢰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 이번처럼 아무리 인체에 영향이 없는 사고라도 국민에게 즉각 알려 이해와 협조를 구해야 한다. 원자력에 대한 국민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할수록 이는 필수적이다.
방사성폐기물처리장 부지선정문제로 오랫동안 방황한 것도 이같은 원자력관리행정의 기본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다. 이번 사고로 신뢰감을 잃은 원자력 관리행정의 앞날이 걱정이다.
국민의 의혹과 불신을 씻기 위해서라도 이번 사고를 철저히 규명,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 언제부터 방사능오염이 있었는지, 오염정도는 얼마인지등을 조사해 있는 그대로를 발표해야 한다. 그리고 방사성폐기물처리설비의 현대화와 안전수칙의 철저한 이행만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대형사고를 막는 길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