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등급 측정엔 COD적합최근 경남대 수질분석실에서는 지난달 한국일보사와 환경운동연합이 조사한 전국 주요 강과 하천의 오염도 분석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번 분석작업을 주도하면서 나는 그동안 누누이 지적돼온 바이지만 과연 환경부가 수질등급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 있는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 수질오염도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느냐는 점을 회의하지 않을 수 없었다.
환경부는 전국 각 수계의 수질등급을 BOD를 기준으로 발표한다. 이에따라 국민이 상수원으로서의 수질을 의심하고 있는 팔당호나 잦은 수돗물오염사고가 발생하는 낙동강의 물도 2∼3급수로 발표된다.
그러나 물속의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BOD만을 고집하는 것은 무리다. BOD는 유기물 함량의 척도로서 물속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산화될 때 소모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하지만 산업이 다양화함에 따라 물 속으로 유입되는 유기물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미생물의 밀도도 수온, 물의 흐름, 정체시간등 여러가지 요인에 따라 변하므로 매우 불안정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BOD의 측정치는 변화가 심하다.
물의 유기물함량은 측정치의 변화가 비교적 적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즉 「물 속의 유기물이 정해진 농도의 산화제에 의해 산화될 때 소모되는 산소의 양」으로 척도가 통일돼야 할 것이다.
수질평가항목의 또 다른 문제점은 인과 질소의 농도를 호소수의 경우만 문제삼고 하천수에서는 무시하는 점이다. 인과 질소는 주로 호소수에서 조류(조류)의 번성 즉 부영양화를 일으켜 상수원으로서의 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수질평가항목으로 삼는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경우 호소수 뿐만 아니라 하천수도 상수원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는데 있다. 따라서 하천수가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인과 질소를 당연히 수질평가항목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끝으로 짚고넘어가야 할 것은 측정된 결과치들을 어떤 기준으로 취사선택해 수질등급을 판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다.
수질등급은 해당 평가항목 중 가장 나쁜 항목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마땅하다. 이는 위장병으로 입원한 환자의 건강등급은 위장의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판정하지 다른 인체내 기관의 상태는 참고만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정부가 어느 수계의 COD와 질소, 인의 오염도는 5등급에 달하고 있는데도 BOD가 2등급이라 하여 2급수라고 발표하는 것을 국민은 납득하지 못할 것이다.
수질관리방법에 대한 정부의 획기적인 발상전환이 없는 한 국민들의 수질에 대한 불신은 불식되기 어려울 것이다.<환경보호학>환경보호학>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