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지방선거는 정계개편의 회오리를 몰고 왔다. 선거전에는 여당의 일각이 무너져 분열되었고 선거후에는 야당이 분당극을 연출해 오고 있다. 앞으로 정국은 아무래도 4당체제로 굴러갈 모양이다. 지방선거 결과가 정치인들의 이합집산만 가져온게 아니다. 제도변화에 대한 욕구도 자극시키고 있다. ◆최근 민자당 일각에서 일고 있는 중·대선거구제 전환 서명운동이 바로 그렇다. 서울 충청 호남지역 출신 의원과 지구당 위원장들이 주로 나서고 있다. 이들 지역은 모두 민자당이 패배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만일 이 분위기가 그대로 계속된다면 내년 4월 총선에서 민자당이 살아 남기 어렵다는 위기의식에 사로 잡혀 있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그래서 궁여지책으로 생각해 낸 것이 바로 지금의 소선거구제보다는 중·대 선거구제가 낫다는 발상이다. 중·대 선거구제는 한구에서 여러명을 뽑기 때문에 1구1인 선출의 소선거구에 비해 장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선 선거분위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양당제보다는 다당제에 걸맞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지역별로 정당이 나타나는 경향을 희석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여러가지 장점에도 불구하고 민자당이 다음 총선의 생존전략으로 들고 나오면 국민이 어떻게 볼까. 소선거구제는 대통령 직선제와 함께 오랜 민주화투쟁의 결과로 얻은 선물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여당의 당리당략에 따라 이를 버린다고 할 때 여론의 반응이 어떨까. 더구나 지난날 악명높은 유신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도입되었던 것이 바로 중선거구제였다는 사실도 되새겨볼 필요가 있다. ◆한편 국회에서는 요즘 여야 합의로 23개의 지역구를 늘리는 등 현행 소선거구제의 선거구 수를 조정한다고 야단들이다. 어느 것이 민자당의 진의인지 모르겠다고 어리둥절해 하는 사람이 있을 법도 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