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붕괴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심리적 동요가 심했던 신도시 주민들은 8일 대한건축학회의 중간조사결과가 밝혀짐에 따라 우선은 불안에서 벗어날 최소한의 근거를 가질수도 있게 됐다.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당장 급박한 붕괴위험은 없는 것으로 잠정결론이 나왔기 때문이다.5개 신도시 아파트 4천1백60개동 가운데 부실파동이 극심했던 90∼91년에 건설된 1천2백35개동을 대상으로 염분도와 콘크리트 강도를 함께 실시한 건축학회는 신도시 아파트 전반의 안전도에 대한 결론은 유보했지만 진단대상 아파트의 콘크리트 강도는 설계기준치를 모두 웃도는 것으로 결론을 냈다고 밝혔다.
그러나 1개동당 6개소씩 모두 7천4백10개소의 시료를 채취해 정밀분석한 결과 총 60여개소에서 염분함량이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것이 당장 위험은 없어도 10∼20년이 지나면 부식이 진행돼 철골에 손상을 입히고 안전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염분작용을 막을 수 있는 방식조치를 당국에 요구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염분초과 수치는 밝히지 않았다.
이번 조사는 조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학회가 단독으로 자체 인력을 투입해 조사를 했고 건축학회가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단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당장 붕괴 위험은 없다』는 말은 믿을 만하다고 할 수 있을는지 모르지만 이 정도로 불안이 완전히 씻어지는 것은 아니다.
과장된 소문과 안믿을 수도 없는 얘기들이 나돌면서 신도시 주민들 사이에 팽배했던 불안심리에 우선은 진정제가 될 수 있어도 문제는 남는다.
건축학회의 조사는 그야말로 점검수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파괴검사등 전문가들을 동원한 구조역학적인 조사가 없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붕괴위험 여부에 대한 확실한 판단을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우선 당장 붕괴위험은 없다는 정도밖에 얻은게 없는 것이다. 앞으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철저한 정밀진단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정부와 경기도 관련단체와 건설업계가 서로 다투어 신도시와 대형 건축물에 대한 안전점검 계획을 발표하고 있으나 상당수가 현실적인 검토없이 내놓은 여론무마용이라는 지적이 있다. 여러 기관이 비슷한 안전점검을 두서없이 서두르는 바람에 진단 자체가 부실해질 우려가 있으며 그런 조사로는 근원적인 불안을 제거할 수 없다.
정부차원에서 안전진단의 대상과 방법 인력 장비 비용 등에 대한 종합적이고도 구체적인 중장기 실천계획을 세워 신도시 아파트 붕괴불안을 원천적으로 없앨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