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근거 정당대결구도 몰아이번 지자제선거에서 야권 승리의 요인은 한마디로 우리사회에 광범위하게 형성된 반민자기류와 DJ(김대중 아태재단이사)JP(김종필 자민련총재)영향력의 건재로 요약된다.
그동안 정부의 개혁의지 쇠퇴징후와 각종 대형사고등이 맞물리면서 우리사회에 반민자기류가 점차 고조돼왔고 이것이 이번 선거에서 야권승리의 기본토양으로 작용했다는 지적들이다. 다시 말해 이번 야권승리는 반민자정서의 반사이익이라는 의미가 크다는 분석이다. DJ와 JP는 이같은 토양위에서 지역등권론과 내각제를 매개로 교묘히 호흡을 맞추면서 선거전을 정당대결로 몰고가 자신들의 텃밭에서 반민자정서를 지지표로 결집시키는데 성공했다.
물론 선거판세를 야권우위로 뒤바꾼 직접적인 요인은 김이사장의 선거지원유세였다. 김이사장은 지역등권론 기치를 내걸고 선거전에 뛰어들어 노골적으로 호남정서를 자극했다. 서울시장선거전에서 민주당내분사태로 고전을 면치못하던 조순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세에서 상승으로 반등한 시점이 김이사장이 본격적으로 유세에 뛰어든 시점과 일치한다는 사실은 그의 역할을 잘 말해준다. 또 그의 호남지역 순회유세는 한때 흔들릴 조짐을 보이던 호남정서를 다잡아 이 지역에서의 이변가능성을 봉쇄했다.
그가 내세운 지역등권론은 쉽게 말하면 호남과 충청 대구·경북등 각 지역이 끼리끼리 뭉치자는 메시지였다고 할 수 있다. 김이사장은 또 지역차별주의 철폐및 지역패권주의 척결을 내걸어 강원과 제주의 지역소외감을 자극해 이 지역의 여권성향표를 야권성향으로 돌리는데 일조를 한 것같다.
자민련의 김총재가 처음부터 DJ의 지역등권론에 호의적 반응을 보인 것은 당연했다. 그는 한발 더 나가 「충청도 핫바지론」으로 지역정서를 자극했다. 그는 또 서울에서 민주당의 조후보지지를 선언, DJ의 지역분할구도에 호응했다.
물론 김이사장의 지역분할구도는 JP의 민자당탈당 및 자민련창당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할 수있다. 자민련의 창당은 역대 선거에서 나타났던 영·호남지역구도를 깨고 각 지역별로 표를 결집시키는 기본 환경을 제공한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 야권이 승리한 또하나의 요인은 나름대로 비중있는 인사를 끌어들여 후보로 내세웠다는 점이다. 민주당은 서울과 호남지역에서 행정경험을 갖춘 인사를 영입해 후보로 내세웠고 자민련도 충남과 충북 강원에서 거물급 인사를 후보로 내세워 인물대결면에서도 기선을 잡았다는 평이다.<이계성 기자>이계성>
◎지역정서·여권분열 걸림돌/민자 패인/JP축출 충청이탈 직접원인
민자당의 패배는 한마디로 이상주의의 좌절이라고 평할 수 있다.
민자당은 세대교체논이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유권자들은 야권의 맹주들이 표방한 지역주의라는 현실을 선택한 것이다. 특히 여권이 새 정치를 기치로 내걸고 「3김시대」의 종언을 고하려했으나 선거결과는 역으로 김대중, 김종필씨의 부활로 나타났다. 더욱이 민자당은 현 정부출범 이후로 추진된 개혁정치가 호응을 받을 것으로 자신했으나 선거를 통해 나타난 국민들의 개혁체감지수는 그리 높지않았다.
구체적으로 민자당의 직접적인 패인은 JP의 축출에서 찾을 수 있다. 민자당이 3당합당, 즉 지역연합으로 탄생된 정당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간과하고 JP를 밀어내 결과적으로 충청권의 이반을 초래했다는 얘기다. 만약 JP가 탈당, 자민련을 창당하지않았다면 적어도 지방선거에서는 충청권과 강원의 패배를 막고 시도지사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정부출범직후 사정의 「칼날」이 구여권인사들에게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면서 TK(대구·경북)들이 이탈한 점도 빼놓을수 없다. 이 와중에서 여권전반에 분열의 징후가 농후해졌으며 개혁에 찬사를 보냈던 국민들도 냉소주의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심지어 민정계출신의 의원들은 민주계 중심의 정국운용에 동조하지않았고 이는 결과적으로 여권의 추진력부족, 세력약화로 이어졌다. 이런 현상들이 중첩되면서 지방선거의 민자당참패를 낳았다고 볼 수 있다.
전반적인 기류가 어려웠지만 민자당이 공천과 선거전략등을 좀더 짜임새있게 운용했다면 「5442」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나오지않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강원·충북지사의 경우처럼 지역적으로 기반이 약한 인사를 지사후보로 공천하는가하면, 세대교체를 주장하면서도 서울시장에 총리출신의 노행정가를 내세우는등 「아귀」가 맞지않는 전략을 택했다는 지적이다.
또한 민자당이 공명선거를 선택했으나 현실선거에서는 여권조직의 무력화를 초래한 점도 이상주의가 실패한 단적인 실례로 볼 수 있다. 그동안 여권조직은 풍족한 선거자금의 「맛」에 오랫동안 길들여져 있었다. 자금지원이 현저하게 줄어든 이번 선거에서 여권조직이 제대로 가동되지않아 정원식서울시장후보가 공식적으로 중앙당 지구당의 방관을 항의할 정도였다.
어떻든 민자당은 야심적으로 추진했던 개혁정치, 세대교체론 등이 선거라는 현실의 벽을 넘지못했기때문에 전반적으로 노선을 재고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실험은 내년 총선에서 다시 한번 심판받아야한다.<이영성 기자>이영성>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