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여 연구소에 인력·시설등 지원 대폭늘려/개발성과 산업·상용화 … 선진국에 기술수출도/과기 성장공헌율 현30%서 50%로 확대야심1인당 국민소득이 5백달러에 불과한 중국이 인공위성 개발기술에서는 한국보다 10년, 로켓발사 기술은 최소한 20년 이상 앞서 있다면 믿어질까. 중국이 또 지난 88년 3월 세계적으로 변환온도가 가장 높은 초전도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중국의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쑹지엔(송건)주임은 『중국은 과학기술의 대국』이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이 말은 적어도 이론수학 고에너지 물리 지구물리 지구화학 초전도체연구 우주항공산업 신소재 생명공학 공정기술 등 세계적 수준을 넘나들고 있는 부문에서만큼은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쑹주임의 자신감은 개방정책이후 기술 수출액이 80억달러를 넘는다는데서도 뒷받침된다. 특히 기술 수출액의 30%이상은 일본 스웨덴 독일 미국 프랑스 등 이른바 기술선진국으로부터 받은 돈이다.
지표상으로 보는 중국의 과학기술수치도 상당하다. 49년당시 30개의 연구소와 5백여명에 불과했던 과학기술인력이 지금은 중앙정부산하 연구소만도 1만개가 넘고 연구인력 역시 1천8백만명을 상회한다.
중국의 이같은 과학기술 발전은 다른 부문과 마찬가지로 개방정책 채택이후 더욱 두드러졌다. 특히 이때부터는 과학기술 성과를 산업화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했다. 대표적인 것이 신기술을 산업화·상품화하려는 화거계획, 농촌의 근대화 및 첨단기술을 개발한다는 성화계획, 2000년까지 첨단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고기술 연구발전계획(863계획), 과학기술을 경제발전에 접목시키려는 국가과기공관계획, 기초기술계발계획 등이다.
중국과기촉진발전연구중심의 양린춘(양림촌)연구원은 이에 대해『개방이전 계획경제하에서 국방등 특정부문만이 지나치게 발전하고 정작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술의 개발과 산업화는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는 반성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개혁·개방정책덕택에 과학기술성과가 경제발전과 맞물려가는 혁신이 가능해졌다』며 개방정책이 과학기술에 미친 영향을 설명했다.
과학기술을 생산력으로 직결시키려는 노력은 우선 각종 연구소에 대한 정부재정지원방식의 변화로 나타났다. 각종 연구소들은 개방이후 예산지원이 감소했는데 현재는 총경비의 75%이상을 자체기술을 팔아 마련해야한다. 그 파장은 엄청났다. 당장에 그저 정부가 주는 돈으로 개발과 연구보고서 작성에만 안주해 왔던 연구소들이 재원마련을 위해 산업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매달리고 관련회사를 설립하는 등의 큰 변화가 일어났다.
그 결과 중국과학원산하의 계산기술연구소와 부설 레전드컴퓨터회사처럼 설립당시의 연구소부설기업관계에서 기업부설연구소 형식으로 주종관계가 완전히 바뀐 경우도 허다하다. 계산기술연구소는 당초 부대사업을 위해 컴퓨터회사를 만들었으나 이후 연구소가 컴퓨터회사가 주는 용역을 맡는 기업부설연구소로 변해버린 것이다.
물론 부작용도 적지 않다. 가장 큰 것은 기초과학부문등에 종사하는 과학자들의 사기저하이다. 한중 과학기술협력중심의 한국측 책임자로 있는 이정일 박사는 『택시운전사 월급의 3분의 1에도 못미치는 과학기술자들의 저임금과 턱없이 모자라는 재정지원은 과학자들의 사기를 땅에 떨어뜨리고 있다』면서 『한국에 1∼2대 뿐인 장비를 연구소마다 갖고 있으면서도 당장 연구비가 없어 자포자기에 빠지는 과학자가 많다』고 말했다. 그 후유증은 과학기술자들이 해외로 빠져나가거나 심지어 연구소 재정마련을 위해 만든 관광회사의 가이드로 나서는 극단적인 형태로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개혁 ·개방이후「과학기술=생산력」이라는 기치아래 이루어져 온 과학기술의 산업화 ·상용화 노력이 중국경제발전에 새로운 활력이 되었음은 틀림없다. 중국정부는 9차 경제개발5개년계획(96∼2000년)기간에도 과학기술사업은 반드시 경제건설로 향해야한다는 원칙을 고수, 2000년에는 경제발전에서 차지하는 과학기술의 공헌율을 현재의 30%에서 50% 수준까지 끌어 올려 명실상부한「과학흥국」이 되겠다는 꿈을 다지고 있다.<베이징=이동국 기자>베이징=이동국>
□중국 기동취재반
이병규(정치2부차장)
송대수(베이징특파원)
하종오(사회2부기자)
김병찬(문화1부기자)
김삼우(체육부기자)
이동국(정치1부 기자)
김병주(경제2부기자)
김 혁(전국부기자)
장학만(사회1부기자)
김건수(사진부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