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년 교개심서 학제개혁안때 처음 제기/94년 민간단체 서명운동… 드디어 “광복” 국민학교 명칭을 오는 8월15일을 전후해서 전격 개칭키로 한 정부의 방침은 역사에 큰 획을 긋는 하나의 「사건」이라고 할 만하다.
정부는 반세기이상 사용하고 있는 국민학교 명칭이 일반인의 정서에 익숙하다는 점등을 들어 그동안 개칭에 난색을 표명해왔다.
그러나 광복 50주년인 올해들어 구 총독부 건물이 철거되는등 일제잔재청산작업이 본격화하면서 명칭개칭에 대한 여론이 높아지자 정부도 『더이상 미룰수 없는 현안』이라고 판단, 개칭에 적극성을 보여왔다.
다만 학제명칭변경이라는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정부가 아닌 민간차원에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민간단체들의 활동을 측면에서 지원해주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국민학교 명칭변경에 대한 논의는 87년 당시 교육개혁심의회가 학제개혁안을 내놓으면서 소학교로 개칭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일기 시작했다.
일제침략이 극에 달했던 41년 황국신민의 기초교육을 다진다는 의미로 생겨난 일제잔재인 만큼 소학교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심의회는 주장했었다.
그러나 국민학교의 「국민」이란 명칭이 북한의 「인민」과 대치되는 개념으로 50년 넘게 사용돼 왔고 적절한 대안이 없다는 이유등으로 개칭논의는 일단락되는듯 했다.
「국민학교 이름 고치는 모임」(회장 박창희·62·한국외대교수)등 3개 민간단체는 지난해 3만여명의 서명을 받아 국회에 청원서를 제출한뒤 시민운동을 활발히 벌여왔다.
이들은 『광복 50주년을 맞아 구 총독부 건물이 철거되는등 일제잔재청산작업이 폭넓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지금이 개칭의 적기』라고 주장했다. 특히 『국민학교 개칭문제는 민족의 자존심이 걸린 당위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더욱이 일제패망후 북한, 중국은 물론 일본도 47년 군국주의 청산을 위해 국민학교를 소학교로 바꾼 마당에 우리만 이 이름을 계속 사용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는 것이다.
국민학교란 이름은 나치 독일의 전체주의 교육을 상징했던 폴크스슐레를 일제가 그대로 일본말로 옮긴 것으로 비슷한 시기에 있었던 창씨개명과 함께 일제의 황국신민화를 위한 대표적인 악제로 지적돼 왔다.
서당, 또는 의숙으로 불렸던 우리의 전통 초등교육기관은 일제침략이 본격화했던 1906년 「보통학교」로 바뀐뒤 국민학교로 개칭되기 전까지는 심상 소학교였다.<황유석 기자>황유석>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