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적 「소유·경영분리」 주목/무한경쟁시대 생존 전략으로/유무형제재벗기 “화해의 손짓” 현대그룹의 구조개편 발표는 정부의 세계화정책에 대해 재계에서 처음으로 나온 화답이다. 소유와 경영이 완전히 결합돼 있고 계열사의 문어발식 확장이 계속되는 후진국형 기업구조를 과감하게 벗고 세계화의 흐름속에 스스로 뛰어들겠다는 대기업의 자기개혁인 셈이다.
이같은 자기개혁은 특히 현대가 현정부와의 관계에서 공식·비공식적인 「제재」를 받아왔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눈에 보이든 보이지 않든 정주영 명예회장의 정치참여로 유발된 현대에 대한 정부의 제재는 벌써 만2년을 경과하고 있다. 웬만한 기업이라면 벌써 사단이 벌어졌을테지만 현대중공업을 비롯해 흑자기업이 많아 그나마 버텨왔다. 그러나 기업경영면에서 그동안 현대가 받은 상처는 엄청난 것이며 여전히 지속될 경우 투자중단등 치명적인 손실을 겪게 된다.
최근엔 현대자동차의 해외 주식예탁증서(DR) 발행을 놓고 정부의 제재의지가 종전과 변함없이 확고함이 다시 확인됐다. 주변의 해제분위기를 믿고 DR발행신청을 강행했던 정세영회장은 청와대당국자에게 두번이나 불려들어가 『상황이 바뀐게 없다』는 통고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현대는 발행신청을 모양사납게 자진철회했다. 지난해말의 일이므로 이후부터 현대는 정부의 재벌정책에 발맞춰 모범을 보일 구도를 짜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로부터는 현대가 제재를 풀기 위해 성의는 보이지 않은채 해제만을 주장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현대의 이번 조치는 스스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인 것이다. 꼭 정부와의 관계에서만이 아니다. 정부관계를 떠나서도 어차피 전근대적이고 방만한 경영체제를 갖고는 세계무역기구(WTO)로 대표되는 무한경쟁시대에 살아남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번 조치의 내용은 크게 두가지로 요약된다. 우선은 계열사 통·폐합이다. 50개의 계열사를 23개로 줄인다. 아울러 23개의 계열사도 중공업부문 전자부문등 6개부문으로 나눠 「소그룹화」, 서로 경영상 경쟁하며 전문화한다. 나머지 10개계열사는 그룹에서 분리하고 6개사는 매각한다. 분리와 매각방법은 미정이나 조속히 시행하겠다고 정회장은 밝혔다.
다른 하나는 6개부문을 전문경영인에게 맡기고 정패밀리는 일선에서 퇴진, 경영에 직접 참여하지 않겠다는 점이다.
정회장 스스로 「소유의 시대」는 끝났다고 밝혔다. 국내재벌구조의 과제인 소유와 경영의 분리가 시작되는 초보단계라는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대목이다.
2세들이 계열사회장이라는 직함을 곧바로 내놓지는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직함을 갖고 있더라도 권한행사는 못하며 운영위원회의 멤버로서만 활동한다. 현재 운영위원회는 6명으로 구성돼 있는데 이 중 2세로는 정몽구 현대정공회장과 정몽헌 현대전자회장이 끼어있다. 이들이 간접적으로 경영에 참여하며 나머지 2세들은 분리되는 계열사중 일부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는 이번 조치를 확정하면서 정부와의 사전교감은 없었다고 밝혔다. 다만 많은 시간을 두고 검토, 정부나 학계 언론계등에서 요구하는 방향에 맞추는 한편 국민정서에 안맞는 부분들을 잘라내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가 정부와 현대간의 화해, 기업구조의 변화계기등이 되느냐의 여부는 앞으로의 실행에 달렸다고 할 수 있다.<홍선근기자>홍선근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