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체질 개혁」 업고 “불가피론” 갈수록 득세/“후임자 추천권” “공천지분 보장” 등 설 분분 김영삼대통령이 6일의 연두기자회견에서 민자당의 개혁방향에 대한 복안을 밝힐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논란의 핵심인 김종필대표의 행로가 한층 주목을 끌고 있다. 물론 현재로선 김대통령이 특정인의 거취문제를 딱부러지게 언급하리라는 관측은 별로 없다. 대통령의 생각은 있더라도 사안이 워낙 미묘한 만큼 이를 공개적으로 드러내기보다는 『당의 체질을 세계화에 맞게 개혁하려면 모든 문제를 성역없이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지를 당에 강력히 주문하는 형식이 되리라는 것이다.
그러나 김대통령의 언급수위가 어떠하든 이미 김대표체제의 현상유지로는 당의 전면적 개혁이 어렵다는 뜻이 발언 곳곳의 행간에 깊이 배이게 될 것이라는 게 여권관계자들의 대체적인 의견이다. 3당합당의 잔재를 털어내는 작업의 하나로 당명을 바꾸고 당직의 명칭과 역할도 기능적으로 대폭 재조정하며 경선등을 본격 도입키로 하는등 사실상 제2의 창당을 추진하는 마당에 김대표의 위상만 불변의 기득권을 주장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이다.
실제로 지난 연말 김대통령이 민자당의 세계화를 강조한 이후 여권내에서 김대표문제에 정면 접근하는 여러 움직임들이 다각도로 진행돼온 흔적이 적잖게 발견된다. 이들은 일단 밖으로는 『역사적 흐름에 부응, 당을 어떻게 환골탈태시키느냐란 시대적 과제에 비춰볼 때 누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문제는 오히려 사소한 것』이라는 식의 「선문답」수준을 뛰어넘지 않는다.
하지만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표위원이라는 명칭은 3당합당때의 계파역학관계를 감안한 것인 만큼 지금상황에선 부적절하고 당의 실질적 힘의 분포를 대변하는 지도체제의 변경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는 것은 엄연한 현실이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반드시 김대표 개인의 퇴진 또는 2선후퇴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해도 적어도 당의 변화과정에서 합당때의 지분이나 지역적 고려등은 더이상 핵심변수가 될수 없다는 결론으로 이어진다.
또 하나의 관점은 새내각의 실무적 성격과 호흡을 맞추려면 당도 이제는 정치영역에만 한정될 수 없다는 것이다. 당대표역할론과 동전의 앞뒤를 이루는 이같은 시각은 김대표를 「적대적으로」 배제하지 않되 현재와는 다른 새로운 지위와 역할을 김대표에게 부여하는 이른바 「명예퇴진」방식에 무게를 싣는다.
이러한 저간의 정황과 특히 김대표등 당직자들을 연두회견에 배석시키지 않기로 한 배경등을 살펴보면 단편적이나마 김대통령이 김대표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하려는지에 대해 몇가지 추측을 해볼 수 있다. 우선 김대표가 「대타협」의 방식으로 새로운 지분확보등 최대한 유리한 조건을 형성한 뒤 궁극적으로는 2선으로의 용퇴카드를 택할 가능성이다. 이를 위해 김대표에게 ▲후임자의 추천권을 주고 ▲지자제선거및 총선에서의 공천지분등을 보장하며 ▲2선후퇴후에도 일정수준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또다른 대안은 대표제를 폐지하고 부총재등을 신설해 총재를 중심으로 한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로 개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김대표의 위상을 명백히 격하시키는 것이어서 실현성은 희박하다는 게 정설이다.
이처럼 김대표문제는 현실과 당위를 넘나드는 「뜨거운 감자」여서 결말을 장담하기는 쉽지 않다. 이와 관련, 여권관계자들은 『사안 자체가 김대통령과 김대표간의 「쌍무적인」 성격을 띠고 있고 김대표의 반응도 해법의 중요열쇠여서 결국은 대통령의 단안에 달린 문제』라며 『하지만 어떤 식의 방향이든 파열음을 내는 극한 상황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이유식기자>이유식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