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94백서 발간/주변환경 무시한채 과밀개발 일색… 도시 삭막화 초래 70년대 이후 자연경관을 파괴하고 이기적 사회풍토를 조장해온 아파트를 환경보전과 생활의 질적 수준보장이란 측면에서 새롭게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건축가와 전공학자들에 의해 제기됐다.
건축문화의 부흥을 위해 건축가와 대학교수 2백여명이 93년 6월 결성한 「건축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건미준·대표 김석철)은 「94년 공동주택백서」를 통해 주요 주거공간으로 자리잡은 아파트의 난립에 따른 문제점과 대책 등을 검토했다.
건미준은 백서에서 『92년기준으로 총 주택건설의 81.6%를 차지하는 아파트가 주변환경과 여건을 무시한 채 무분별하게 건립되고 있다. 기성시가지 신도시 경사지 강변지역 농촌지역등을 구별하지 않고 고밀개발 일변도로 세워진 아파트는 환경을 오염시키고 폐쇄적·획일적인 삶을 부추기고 있다』고 진단했다.
구체적으로 한강변이나 산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아파트단지는 주변 경관을 독점·사유화함으로써 도시경관을 삭막하게 하고 내부구조마저도 천편일률적인 일자형안에서 변화없이 배치하여 가치관과 개성까지 통일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동일한 형태의 발코니와 실내공간구조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의 경우 동과 호수로 표시되는 자신의 거주환경으로 인해 동네의식이 결여되고 정서의 황폐화까지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또 경제적인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정부의 건축법과 주택건설촉진법의 규정, 투자가치를 우선시하는 소비자들의 의식등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고 있다는 분석과 함께,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경제수준이 높아지고 좋은 주거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바뀌는 20년후에는 아파트 폭파산업만이 번창할 것으로 전망했다.
백서는 따라서 『단순히 경제논리로만 짜여있는 정부의 정책을 문화논리에 의해 대체해야 한다. 즉 현재 건물자체의 형태규제에 치중해온 주택건설기준 관련 규제체계를 시장경쟁에 의한 품질향상 유도와 공공생활 공간의 질적 수준의 확보를 강조하는 쪽으로 개편하는 등의 제도개선이 뒷받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백서발간에 참여한 건축가 조성룡씨는 『지금까지 정부의 주택정책은 물량공급의 증대와 투기억제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합예술로서의 건축을 외면해왔다. 거실·침실의 최소길이 규제 등 창의적 설계를 제약하는 독소조항의 폐지로 창의적 설계가 보장돼야 한다』고 말했다.<최진환기자>최진환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