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념폭」넓혀 지지기반도 확대/「색깔론」등 분열요인 해소 과제 민자당이 27일 발표한 13개 사고지구당의 조직책 인선내용의 초점은 이른바 재야인사로 분류되던 이우재 정태윤 송철원씨등 세사람에 맞춰진다. 당관계자들은 『온건합리주의적 성향을 지닌 다양한 경력과 직종의 인물군을 두루 망라해 국민정당적 색채를 보강했다』고 전체적 의미를 포장하고 있지만 당내의 관심은 역시 진보적 정치노선을 걸어왔던 이들의 영입배경에 쏠리고 있다.
특히 이씨와 정씨는 지난봄 영입했던 김문수씨(부천 소사)와 함께 지난 90년 말 민중당을 창당해 기존 보수정당의 대안세력을 자임했던 인사들이란 점에서 당안팎의 시선은 남다를 수 밖에 없다. 실제 그동안 이들의 영입설이 나돌때 『이념적 색채가 현저히 다르고 한때 적대적 관계에 있던 사람들을 마구 끌어들여 어떻게 하자는 것이냐』는 「색깔론시비」가 적잖았고 당지도부도 막판까지 이같은 당내 반발에 부담을 느꼈던게 사실이다.
또 조직책인선을 심의의결한 이날 당무회의에서 김중위의원이 『역사적으로 보수정당이 위기에 처할때 개혁적 수혈을 해왔고 농촌문제전문가인 이씨등의 영입은 이런 맥락에서 정치색을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분위기를 잡았으나 정순덕의원등은 『먼저 이씨가 과거와 현재에 자신의 정치적 입장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밝혀야 하는 것아니냐』고 마땅치않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같은 논란을 뒤로하고 민자당이 이씨등의 영입에 적극적이었던 것은 여권인력의 이념적 스펙트럼을 더욱 넓혀 지지기반의 폭을 확대하겠다는 여권핵심부의 의중에 따른 것으로 봐야할 것같다. 이는 민자당이 줄곧 추진해온 「물갈이」와도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소수파정권」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나름의 계산도 깔고있다는 해석이다.
이번 인선에서 5·6공인사로 분류될만한 사람이 없다는 점이나 당료, 관료, 기업인, 지방의원등을 두루 포함시킨 것등은 한편으로 재야영입에 따른 갈등을 희석시키면서 다른 한편으로 당의 「김영삼색채화」를 한층 가속화하겠다는 의도를 분명히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재야인사외에 유광사서울시의원(서울 강서갑)과 김찬진변호사(〃서초갑)는 원래 민주계인사이고 이현수전국구의원(〃서대문을) 이춘식당조직국장(〃강동갑)과 광주의 이승채변호사(서을), 전북의 김주섭씨(고창), 전남의 최문휴씨(고흥)등의 호남지역 인사들은 정치적 혈통과 관계없이 김대통령에 의해 임명됐다는 점에서 범민주계로 분류된다.
그러나 이러한 당체질의 전환작업은 필연적으로 민정계등의 소외감을 낳고 자칫 범여권분열의 「원심력」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잇단 정치일정을 앞두고 「개혁정당으로의 탈바꿈」과 「범여권의 총력동원체제」라는 양극사이에서 어떤 선택을 하느냐하는 문제는 좀처럼 해법을 찾기 어려운 숙제』라는 한 당직자의 말이 이같은 고심을 잘 말해주고 있다.
이번 인선으로 민자당은 14대총선후 83명의 지구당위원장을 교체했으며 이중 새정부출범후의 교체는 57명에 이르게 됐다.【이유식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