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주석의 급사로 인한 충격에서 벗어나 북한권력 핵심부의 상황이 점차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대체로 분명한 것은 아들인 김정일 당비서 겸 국방위원장이 권력을 승계하게 되리라는 점이다. 따라서 정부는 김정일체제의 출범이 굳어지고 있는 만큼 남북관계 정립과 북핵해결등을 위해 새로운 관점과 차원에서 대북정책수립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물론 북한이 워낙 폐쇄된 체제인데다 권력구조가 독재적이고 복잡해서 과연 김정일비서에게로 승계가 무리없이 진행될 것인지 예측하기 어렵다.
김정일의 권력승계 근거로는 이번 김주석장례위원 명단에 권력서열 1위로 기록된 것도 그렇고 그가 지난 1964년 노동당에 간여한 이래 선전선동부부장, 중앙위정치위원을 거쳐 74년 당5기 8차전원회의에서 후계자로 결정되었고 현재 당비서, 인민군최고사령관, 국방위원장등 당과 군의 최고 요직을 장악하고 있음을 들 수 있다.
사실 김정일의 성격과 스타일, 조직관리능력과 철학등은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 있다. 그가 일부 당정행사 참석과 친북계 인사의 접견 외에는 지금까지 공개적 노출을 꺼렸기 때문이다. 이처럼 능력과 통치스타일이 전혀 미지삭여서 벌써부터 갖가지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것은 그가 아버지처럼 주민에게 카리스마와 같은 이미지와 지도역양이 없기 때문에 자기과시와 주민단합을 꾀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강경정책을 구사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그러나 두 가지 관점에서 그의 결단에 기대를 걸 수 있다. 하나는 현재 북한이 직면한 최대의 긴급 현안은 식량과 에너지부족에 의한 극심한 경제난으로 경제회복에 실패할 경우 엄청난 주민반발을 초래할 것이 분명하다는 것과 다행히도 김정일 주변에는 북한정권수립 이후 교육을 받은 해방후 1세대인 전문기술관료들이 적지않게 있다는 사실이다.
또하나 주목할 것은 북한이 김주석 사후 미국과의 3단계회담 계속과 일단 중단된 남북정상회담의 실현을 강력히 희망해온 것이다. 이같은 대화희망은 장차 김정일체제가 교조적 대내외정책을 고집했던 아버지 때와는 달리 점진적인 대내개혁과 대외개방, 대남화해정책을 구사하겠다는 시사로도 풀이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의중을 분석하고 또 권역승계를 냉정하게 지켜본 뒤 앞으로 김정일체제가 정돈·정립된 후 적당한 시기에 반드시 정상회담을 실현시켜야 한다. 이에 앞서 정부는 앞서의 이홍구부총리와 김용순비서간의 대화채널을 살려 비공개대화를 통해 핵투명성의 실천방안, 기본합의서와 비핵화선언의 가동, 대북식량·에너지 지원을 포함한 적극적인 경협을 심도있게 절충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북의 새 체제가 핵투명성을 과감하게 확인하게 하고 북이 필요로 하는 것을 남이 다각적으로 지원 협력하는 방향으로 대북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