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자격증 걸린 “밥그릇싸움” 비화우려 윤리학과 철학의 경계는 과연 어디인가.
최근 서울대를 비롯, 전국 각 대학의 철학과 윤리교육과 교육학과 교수·학생들이 중고교 윤리과목 교원자격 문제를 놓고 개념논쟁을 벌이고 있다.
윤리학과 철학의 개념논쟁은 최근 교육부가 「95∼96학년도 제6차 중등교육개정」에 앞서 지금까지 윤리과목 교원자격증을 따기 위해 이수해야했던 논리학, 공산주의 비판철학, 윤리학등을 제외하는 대신 윤리학개론, 한국윤리사상, 통일교육등으로 대체하고 관련학과도 국민윤리학과와 국민윤리교육과로 제한하겠다」는 개정시안을 제시하면서 불붙었다.
윤리교육과측은 『철학은 논리학과 형이상학등 지적 사고만을 강조할 뿐 개인과 사회, 구체적으로 국가의 통일문제까지 다룰수 있는 실천교육에 대한 부분이 미흡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철학과측에서는 『윤리학은 광의적 의미를 담고 있는 철학의 한 분과이며, 철학적 사고함양이 없는 윤리학이란 이미 그 실체를 상실한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교육부의 개정시안에 위기의식을 느낀 전국 45개대학 철학과 교수들은 공청회개최등을 강구중에 있다. 한국철학회의 박순영 철학교육협의회위원장(52·연세대 교수)은 『21세기를 향한 중등교육은 다양하고 성숙한 판단을 요구하는 사고함양과 철학적 사고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며 『인성교육에 중점을 둔 중등교육을 위해서는 윤리과목 교원자격 이수영역에 인성론, 논리학, 형이상학등을 첨가해야 하며, 철학과 제외는 있을 수 없다』는 청원서를 교육부에 제출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이에 대한 회신에서 「관련학과에 속하지 않은 학과 학생이라도 윤리를 부전공으로 이수하면 윤리교사 자격증을 딸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철학과는 45개대에 있으나 윤리교육과가 있는 대학은 7개대에 불과하다.
윤리학과 철학의 개념논쟁은 「한약사 분쟁」과 유사한 「밥그릇 다툼」으로 비화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장학만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