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위 돈봉투사건」으로 물의를 빚은 한국자동차보험사는 영업에서도 「변칙」일색이었다. 보험감독원의 특별검사결과 자보는 회계장부를 마음대로 조작, 손실액을 줄이고 정해진 사업비를 판매지원금등 엉뚱한 용도로 썼다. 거액계약자들에게 보험료의 일부를 리베이트로 되돌려주고 대출받은 사람에게 대출금의 일부를 다시 보험료로 받는 「꺾기」도 마다하지 않았다. 지나친 대리점확보경쟁으로 대리점수수료도 턱없이 많아 제살을 깎아 먹었다. 평소 쉽게 발견되지 않는 보험사들의 변칙영업 백태가 낱낱이 드러난 것이다. 자보특검결과는 자보뿐만 아니라 자동차보험을 취급하는 손해보험사들의 왜곡된 경영구조와 보험료인상의 허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손보사들은 지난해 3천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대리점확보명목으로 엄청난 수수료를 주면서 제대로 영업이익을 낼 수는 없는 노릇이다. 회계장부를 변칙처리해 당해연도 손실액을 축소, 고객들의 눈을 잠시 속여도 적자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회계장부 변칙처리와 엄청난 리베이트를 지출하는 출혈경쟁은 「언 발에 오줌누기」일뿐이다.
곪을대로 곪은 손보사의 경영상태가 「돈봉투사건」으로 「우연히」 드러난 것이 더 한심하다. 감독원이 한 회사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사를 한 것은 개원이래 처음이라고 한다. 「돈봉투사건」이 정치적인 이슈가 되고 사회문제가 되자 뒤늦게 특별검사를 실시, 이같은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이번 특검결과로 『보험료를 아무리 올려도 대리점과 정비업체 병원만 살찌우고 보험회사직원들은 적자를 땜질하면서 월급을 받는다』는 보험업계의 신소리가 사실로 입증된 셈이다. 자동차보험계약자가 6백만여명에 이르는 현실을 생각하면 손보사의 관행화된 변칙영업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변칙관행을 떨쳐버리지 않고 보험료만 매년 인상해봐야 소비자들의 부담만 늘어나고 보험사 스스로도 개방화시대에서 살아남을 수가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