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 확보” 유권자접촉 일상화/믿을건 「사모임」… 친목회등에 열성 통합선거법등 정치개혁입법이후 기존의 정치환경과 정당운영, 특히 선거문화에 지각변동이 예상되자 이에 적응하려는 정치권의 몸짓이 부산하다. 지구당운영에서부터 정치자금의 수급에 이르기까지 종전과 전혀 다른 「패러다임」이 요구됨에 따라 선거운동양태와 조직관리모델의 새로운 전형을 짜내는데 부심하고 있는것이다.
아직까지 개별의원들은 통합선거법등의 내용이나 파장을 충분히 숙지못한듯 다소 얼떨떨한 표정이지만 속마음은 무척 다급하다. 특히 민자당의원들은 이른바 「여권프리미엄」을 대부분 잃었다고 생각하던 차에 조만간 지구당조직마저 80% 가까이 정비한다는게 중앙당 지침이어서 나름의 「생존전략」마련에 머리를 싸매고 있다.
또 일부 여당의원들은 『정치개혁을 내건 법과 조직의 정비가 대대적인 물갈이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며 해체될 공조직을 사조직으로 흡수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중인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야당은 상대적으로 유리한 정치환경이 조성됐다는 판단아래 벌써부터 자원봉사운동원들을 확보하는 실용적 프로그램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향후 전개될 여권인력의 신진대사폭과 그에 따른 자신의 잠재적 라이벌대상그룹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여야 의원들에게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첫번째 문제는 『5천3백만원선 안팎의 선거비용제한을 어기지 않으면서 선거를 이기는 방법을 찾는』것이다. 답은 한마디로 『선거운동기간에 집중투입돼왔던 인적·물적 노력을 평상화하는것』으로 요약된다. 선거일공고 6개월전부터 처벌되는 사전운동을 피해가면서 1년전 또는 2년전부터 유권자를 관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표밭을 다진다는 복안이 그것이다.
이와 관련, 최근 의원들 사이에서 「여성문화원」(박범진·민자) 「문화강좌」(김정수·민자) 「주부대학」(황명수·최재욱·민자) 「애향대학」(문희상·민주)등 교양모임을 개설하는 붐이 일고 있으며 각종 등산모임(조세형 유인태·민주)도 활발하다. 또 농촌지역에서는 종친회나 동창회에 얼굴을 자주 내밀며 이를 지원조직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들이 부쩍 늘고 있다.
이같은 양상들은 돈으로 표를 사는 관행이 더 이상 통할 수 없게된 상황을 반영하면서 아울러 자원봉사체제가 주축이 될 선거양태에 대처키 위한것이다. 바꿔 말해 선거때 무급으로 헌신해줄 수 있는 운동원들을 구하려면 지금부터 음양으로 씨앗을 뿌려둬야 한다는 얘기들이다.
또 『과거에는 선관위에 신고한 유급운동원만 선거운동을 할 수 있었으나 이제는 공무원등 선거운동을 할 수 없는 몇몇 사람을 빼놓고 사실상 모든 유권자가 지지와 반대표시등의 선거운동을 할 수 있게된 만큼 평소에 빈번하게 눈도장을 찍어둬야 한다』는게 지배적 의견들이다.
반책에 이르는 조직과 관변단체등에 큰 도움을 받아온 여당의원들로서는 지구당의 대거 축소운영에 대처하는 묘안도 짜내야 한다. 실제 상당수 의원들은 『중앙당의 뜻은 알겠지만 일률적인 정리지침을 하달함으로써 조직반발을 낳는등 부작용이 적지않다』며 곤혹감을 표시하고 있다.
충남지역의 한 의원은 『현실적으로 반책을 모두 없애라는것은 선거를 앉아서 패배하라는것』이라며 『결국 이들을 사조직 형태로 유지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부산출신의 다른의원은 『반책등 방만한 조직을 정비해야 하는것은 사실이나 중앙당이 일방적으로 지시하니 잡음이 일고 있다』면서 『중앙당이 세세한 부분에 일일이 나서기 보다 지구당의 자율성을 제고하는 방안에 중점을 둬야할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새로운 정치실험에 적응하려는 의원들은 새 정치에의 기대를 섞어가며 다양한 변신을 서두르고 있으나 생소한 새 제도에 따른 불안감을 전적으로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게 보다 정확한 표현일것이다.【이유식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