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독 1%미만비해 작년성장 3%/FRB선 회복세 빨라 인플레등 과열우려 미국경제가 되살아나고 있다.
10여년 이상 경기침체의 늪을 헤매던 미국경제가 쾌조의 회복세를 기록하며 고도성장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미상무부가 2일 발표한 바에 의하면 지난해 4·4분기 동안의 미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7.5%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분기별 성장수치는 80년대 초반의 경기침체기를 잠깐 벗어났던 지난 84년 1·4분기 7.9%의 급격한 회복세를 보인 것을 제외하곤 10년이래 가장 높은 것이다. 상무부는 한달전만 해도 작년 4·4분기 성장률이 5.9% 정도일 것으로 예측했었으나 이를 훨씬 상회한 것이다.
지난해의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3%수준이었다는 사실도 미국의 경기회복전망을 밝게하는 지표다. 이는 지난 88년 3.9% 성장률을 보인 이후 최고치인데 금년도 평균성장률 역시 지난해보다 높은 3.5%수준이 될 것이라는게 경제분석가들의 일치된 견해이다.
특히 미국경제의 이같은 성장률은 일본의 지난해 연평균 성장률이 0.4%, 독일 1%미만에 그쳤던 사실만 보더라도 미국의 대외경쟁력이 신속히 활력을 되찾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
미국경제가 소생하고 있는 조짐은 소비지출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는 데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지난 한해동안 주택구매량은 눈에 뛰게 불어났으며 자동차산업도 침체에서 탈출, 흑자회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총 경제행위의 3분의2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의 경우 연평균 4.6%가 늘어났으며 돈으로는 92년에 비해 4백70억달러가 증가한 수치이다.
또한 대외무역도 수입이 16.2% 증가에 그친 반면 수출은 20.5%나 증대됐는데 국내경제에 미친 효과가 상당했음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아울러 이자율과 노동임금이 일본·독일 등 경쟁국가에 비해 싼 것도 미국의 경제성장률을 제고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미국경제가 이처럼 기지개를 펴고 있는 것은 미국의 경제정책기조가 과거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전향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란 점을 우선 들 수 있다.
클린턴행정부 출범이후 미국은 대외경쟁력강화를 1순위의 정책목표로 설정, 무역분야에 있어 눈에 뛰는 변화를 가시화시켜 왔다.
클린턴행정부는 보호무역주의 색채를 노골화한 것은 두말할 것도 없고 소위 안보를 1순위의 국가정책목표로 삼았던 공화당의 부시행정부와는 달리 안보와 경제, 특히 통상무역분야를 거의 동일선상의 정책목표로 인식해왔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른바 경제성장제일주의의 표방인 셈인데 이는 안보우위의 통념을 깨뜨린 클린턴대통령의 선거 슬로건이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보스턴에서 열렸던 미경제평가회에서 새뮤얼슨이나 돈 부시와 같은 일류경제학자들은 클린턴행정부의 경제정책에 「B학점」의 평가를 했는데 특히 대외경제정책부문에 있어서는 「특A」평가를 내린 바 있다.
국민여론도 클린턴의 외교정책에는 나름대로 회의적 반응이나 경제정책 만큼은 우호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클린턴대통령의 목소리가 외교분야의 실점을 만회하고 있다. 많은 경제전문가들이 미국경기의 회복에 심리적 요인도 상당히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들은 경제정책에 대한 일관성이 확고하고 직장인의 불안심리를 제거한 정책이 주효했다는 평가에 인색하지 않다.
그러나 미국경제의 높은 성장률이 반드시 긍정적 요소만을 안고있는 것은 아니다.
경기회복이 기대 이상으로 빠른 만큼이나 장기금리가 뛰는 상황으로 급변하면서 많은 증권투자가들은 자산관리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지난해 여름이래 장기금리는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금융시장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이사회(FRB) 의장은 최근 미하원청문회에서 『4·4분기 GDP성장률 발표가 인플레 심리를 부추기지나 않을까 우려된다』면서 『강한 경기회복세가 가격상승의 가속화를 부채질하는 악재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경제의 최근 흐름은 미국의 잠재돼 있던 경제복원력을 가늠케 하는 청신호이며 NAFTA체제의 출발과 함께 경제의 「슈퍼파워」를 생산해낼 수 있는 길조로 여기고 있음은 틀림없다.【워싱턴=정진석특파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